사회 세계가 더 단순했다면 각자 자신의 눈과 귀에 의지해 사람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알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자기 제시와 사회적 인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눈과 귀로는 모든 사정을 파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다른 사람들이 아주 능숙하게 동기를 감추려 할 뿐 아니라 우리의 마음 역시 보고 들은 정보를 왜곡하고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부정할 때가 많다.
마찬가지로 문화에 따라 선물 주기에 대한 규범이 다양하지만 그와 함께라는 보편적 규칙이 존재하고, 문화에 따라 개인주의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가족이라는 집단에서는 대부분 공동체적 성향을 나타낸다는 보편성이 존재한다.
신경심리학적 연구는 우리가 언제, 어떤 사람에게 끌리는지에 대한 호르몬의 영향을 비롯해 생물학적 요인이 인간의 사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혀왔다. 한편 역사와 문화 역시 애정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랑의 심리는 역사학, 정치학, 인류학이라는 분야와도 연결된다. 또한 연인이나자녀와의 관계에서 남녀가 결정을 내리는 다양한 방식은 경제심리학과 관련된흥미로운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요컨대 호르몬, 뇌 활동, 생리 주기 변화와 여성의 행동 연구 등에 따르면, 인간의 성적 행동은 자신과 타인의 몸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현상에 영향받으며, 그 가운데 다수는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일어난다.
사람들은 다른 이들에게 확실히 호감을 얻기 위해 아첨과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하고, 그들과의 유사성을 드러내고, 외모를 더욱 매력적으로 가꾸며, 겸손하게 행동하려 애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