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관문을 통과하는 과정’이라 부르는 사람이 있다.

만약 그러한 수사가 본질에 조금 더 다가가있는 것이라면 우리네 삶은 필연적으로 인생의 소비를 통한 자아실현으로의 치환 해석되는 편협한 개념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사가 혐오스러울 정도로 어울리는 것이 우리네 인생이 아니었던가.

인생의 장벽에 부딪혀 비분강개하고, 끊임없이 순환되는 과정의 울타리 안에서 방향성을 상실한 채 살아가는 우리네 인생에 대한 회의론이 우리네 철학이 아니었던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희극과 비극의 경계선이 과정 속에서 얻어지는 성취와 박탈이었던 것은 쉽사리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쉽게 끊을 수 없는 것은 배후의 음모가 도사리고 있음이다.

인간이 만들어 낸 괴물이 그 음모의 주동자요, 그 괴물의 실체는 추악한 인간의 본질이다.



관문 이라는 것은 사실 삶과 죽음까지의 일직선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을 투명하게 볼 수 없는 인간들이 할 수 있는 짓이라고는 고작 삶과 죽음의 추상화일 뿐이다.

이 것이 바로 인간의 추악한 본성이다. 공포를 잊기 위한 추악한 발버둥이다.

공포는 인간에게 공포를 잊기 위한 수단을 요구한다. 조악한 두뇌로 인간이 생각해 낼 수 있었던 것 이라고는 삶을 모방하는 것, 죽음을 모방하는 것 뿐이었다.

그러한 방법론으로 인간은 삶과 죽음을 점, 선, 면의 형태로 인식하려 한다. 인생의 단면들이 결합하여 전체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체계는 곧, 삶을 과정의 연속성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과정의 관문에는 인간이 이겨나가야 할 문제들이 존재하며, 그 것을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중시하게 된다. 그러한 능력이 없는 인간은 삶의 과정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는 불구자일 뿐인 것이다.



이 것이 바로 우리가 만들어 낸 삶이요,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이요, 처절하게 싸워 나가 얻어 내야 할 희노애락이다.

나는 이러한 관문으로부터의 탈피, 비상구로의 회귀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우리가 만들어 낸 삶은 허상이자, 나아가 괴물이다. 우리는 죽음으로의 일차선 도로를 걸어가고 있는 것이 아니며, 본디 삶의 목적지는 죽음도 아니었다.

우리는 오늘을 살아가고, 관문의 존재보다도 내 자신의 존재에 충실해야 한다. 지금의 현실은 충분히 긴급 상황이다. 이러한 긴급 상황을 말해주는 징후가 우리 주변에 너무나도 많지 않은가?

우리의 철학이 그렇고, 우리의 역사가 그러하며, 우리의 교육이 그러하고, 우리의 삶이 그러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비상구가 필요하다. 인간이 수없이 검증하고, 반론하며 만들어 낸 지금의 현실에 대한 과감한 포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건물의 저 비상구를 보라.

후미지고, 어두운 곳에 매우 작은 통로가 있을 뿐이다. 건물의 화려하고, 웅장하고, 보행이 편한 출구에 비해 남루하다. 많은 사람들은 자연스레 보기 좋은 출구를 찾을 것이다. 하지만 그 출구를 통해 들어가는 사람들의 철학과 삶에 대한 인식은 처참할 정도로 우울하고, 비극적일 정도로 유사하다. 허름한 비상구의 간헐적으로 깜빡이는 녹색 간판의 달려나갈 준비를 하는 하얀 인간을 보면서 나는 오늘도 그와 함께 달려나가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