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절반을 넘어서 - 기후정치로 가는 길 전환 시리즈 3
트로이 베티스.드류 펜더그라스 지음, 정소영 옮김 / 이콘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지금 실무에서 ESG 경영에 관련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그 만큼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ESG 에 대한 책들은 최대한 많이 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예전에 올려드린 ESG 생존 경영같이 개론적인 소개 서적이 있고, 자연기반 해법 같이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이산화탄소 배출 제한을 위해 국가간 협업이 중요한가 소개하는 책도 있었습니다.

이 두가지 해법의 공통점은 지금 우리가 받아들이고 있는 자본주의, 자유 시장 경제 등을 토대로 최대한의 자연 훼손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점이겠죠.

그렇다면 구 소련의 붕괴, 독일의 통일 이후 붕괴되었다고 생각되는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로 생존을 위해 패러다임 시프트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라는 의미에서 발간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첫인상




저는 정의당을 지지하는 편입니다만, 장혜영 의원님이나 정의당이 이번 책에 나오는 내용을 전폭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을까 싶습니다. 유독 한국은 레드 컴플렉스가 있는 국가라 그런지 본문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진 않고 있어요. 단호하게 새로운 이상을 상상하신다고 표현했죠?

책의 주요 내용

책의 첫 부분은 SRM (Solar Radiation Management) 라고 Green house effect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이산화 탄소를 제한함과 동시에 햇빛 자체의 지구의 도달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면서 시작합니다.



파리 기후 협약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2050년에 맞추어 2047년의 디스토피아 (암울한 미래)를 예측하면서 책의 첫 부분을 장식하고 있어요. (물론 저렇게 될지 안될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요)



자본주의에서는 양극화가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너무 과장해서 작성한게 아닌가 싶기도 해요. 물론 지금까지의 추세를 지켜본다면 그렇게 예측하는 게 쉬울 수 있지만요.

지금 모두가 힘을 써서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제한하고자 하지만, 2050년에 가까워져서도 화석연료 의존도가 저렇게 높을까요?



석유화학 제품의 특성상 recycling이 어려워서 개발도상국들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 생산량 및 석유화학 제품의 전체 생산량은 늘어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저렇게까지 급격하게 증가할지는 잘 모르겠어요. 다만 환경론자들이 늘 말씀하시는 종의 멸종은 계속 모니터링 해야겠지만요.



코로나나 (지금은 많이 언급이 안되지만, 조류 독감, 구제역등 다른 동물들에 대한 질병 포함) 자연에 어긋나는 인류의 동물 지배에서 초래했다는 주장은 어느정도 설득력이 있어보입니다. 예전에 meatrix 라는 메트릭스를 패러디한 유튜브에서도 잠시 소개되었는데, 동물을 사육하는데 있어 너무 공장처럼 잔인하게 한다는 거죠

총평

읽는 내내 기승전-신자유주의 나쁜놈 이라고 주장하시는 분이 계속 생각이 났습니다.

어느정도 사회주의적인 대안을 받아들일 필요는 있겠지만, 결국 인종 차별, 성별 차별을 해체한 것이 모든 반 차별운동보다는 자본주의의 확산이라는 아이러니에 환경 개선을 위한 해법에는 어떤 대답을 내야할까요?

너무 거대한 담론적인 해결책 제시라 읽는 내내 어렵다는 생각밖에 안들더라구요. 게다가 원래 책이 그런건지 번역하신 분이 너무 원문에 충실하게 하신건지 모르겠지만, 문장 구조 자체가 굉장히 불편하게 되어있었습니다. 나중에 내공이 좀 더 쌓이면 다시 읽어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