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여자가 아닙니까? - 성x인종x계급의 미국사
벨 훅스 지음, 노지양 옮김, 김보명 해제 / 동녘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글에서도 한 번 썼던 것 같은데, 저는 Black lives matter라는 문구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습니다. 미국 사회 기준으로 생각해도 인권의 사각지대에 있는 건 Black male 보다는 아시안이나 히스패닉 같은 비주류 인종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죠. All lives matter 라는 문구를 더 좋아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페미니즘 운동과 더불어 흑인 여성의 인권은 어땠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극단적으로 (보여지는) 페미니즘 운동에 저도 선입견이 완전히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만, 뭐랄까 일제 강점기의 여성 인권에 대해 설명해주는 책 같은 느낌을 기대했던 것도 있었어요. 조정래 선생님의 아리랑에서도 어느정도 드러나긴 하지만, 소설 외의 매체에서 보고 싶었죠.

책의 첫인상



표지에 쓰여있는 성/인종/계급의 미국사라는 거대한 담론을 다룬 책 처럼 보여 솔직히 잘 펴지지가 않았습니다. 논문을 모아둔 그런 책 처럼 보였거든요.



여성에 대한 선입견이 생긴게 언제였을까, 돌이켜보면 애매하게 저는 조선시대 유교가 들어오면서가 아닐까 싶었어요. 농업 위주의 사회로부터 불궈진 남존여비 사상부터 가부장 제도도 그렇구요. 남성과 여성은 서로를 평생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는 어떤 글귀가 떠오르면서, 책을 펴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책의 주요 내용

책의 머릿말에는 흑인여성운동이 왜 인권 운동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었는지 설명합니다. 페미니즘 운동은 흑인 여성을 "흑인"이라는 이유로 포함시켜주지 않고, 흑인 인권 운동은 흑인 여성을 "여성" 이라는 이유로 포함시켜주지 않죠. 과연 어떤 이유에서 그럴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흑인 여성은 역사적으로 기존 주류층 (백인 남성) 및 비주류층 (흑인 남성 및 백인 여성)으로부터 왜곡된 선입견에 공격당해왔기 때문이죠. 흑인 여성은 아프리카에서의 생활력을 바탕으로 미국 남부에서 노예로서의 삶을 흑인 남성에 비해 더 잘 적응하게 됩니다. 목화 농장이 주가 되었던 미국 남부 농업에 익숙하기 때문이죠.



육체 노동을 전담하는 노예로서의 삶 외에도 성적으로도 백인 남성에 의해 유린당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공공연히 이 사실을 알았던 흑인 남성, 백인 여성에게도 외면 당하는 모습이 안타까웠어요. 흑인 남성은 노예시절부터 남성성이 제거된 상태로 아무런 힘이 없었다손 치더라도 백인 여성은 왜 그랬을까요? 같은 여자인데 말이죠.



결국 백인 여성도 피해자였던거죠. 백인 남성에 의해 정숙한 모습을 늘 유지해야하고, 백인 남성이 흑인 여성을 겁탈하는 모습까지 눈 감아줘야 하는...



물론 지금은 세상이 바뀌었다고 이야기 하지만 우리 어머니 세대만 하더라도 아이가 언제 죽을지 몰라서 출생 신고를 늦게 했다고 하니, 흑인 여성들의 노예 시대에 저런 대우를 받고 살았다는 사실이 가슴 아팠습니다. 노예 시대가 공식적으로 종결된 이후에도 계속 잘못된 프레임에 덫씌워져 흑인 여성은 아무렇게나 대해도 되는 대상이 되고, 흑인 남성에게 소유물 취급을 받았다는게 지금까지 이어져왔다고 생각이 듭니다.

총평

이번 서평은 내용을 요약하는 부분이 많은데 읽다보니 불편할 정도로 억압당하는 모습이 안타깝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던 것이 첫째 이유이고, 저도 몰랐던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어 정리하는 차원에서 요약을 했어요. 흑인 여성을 일제 강점기 아시아 여성으로 바꾸면 어떨까요? 지금의 히스패닉 여성이라면? 크게 차이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흑인 여성이 미국 사회 안의 주류 비주류에 외면 당했던 것 처럼 (굳이 불편하게 이야기를 꺼내자면) 지금 미국의 흑인 여성들도 전 세계의 주류로서의 역할을 외면하면 안되겠죠? (물론 이 책의 저자인 벨 훅스님은 연대의 필요성에 대해 누구보다 찬성하시겠지만요)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1. 어떻게 보면 어렵고 불편한 이야기인데, 최대한 잘 풀어서 읽기 쉽게 되어있고,

  2. 흑인 여성 인권 역사에 대해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사례들과 반복되는 Thesis 로 큰 틀에서 기억하기 쉬웠어요.

아쉬웠던 점은

  1. 같은 이야기인데 너무 반복이 많아보인다는 점? 정도 입니다.

아직은 페미니즘에 대해 잘 모르지만, 비주류 여성에 대한 이야기도 읽어볼 기회가 생기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