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 - 세상의 모든 딸, 엄마, 여자를 위한 자기회복 심리학
박우란 지음 / 유노라이프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엄마' 하면 떠오르는 감정과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 내가 느끼는 엄마는 서운함과 고마운 마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요.



현재 딸을 키우고 있는 엄마이자 나역시 딸이고,

나의 엄마도 엄마이자 딸이기에 엄마는 어떤 딸이었을지 궁금했고,

모녀관계인 엄마와 딸 서로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했다.


앞으로 딸이 나를 믿고 의지하며 자라기를 바라고,

모녀관계가 더 돈독해지기를 바라며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왜 엄마는 속상하거나 힘을 때, 아들이 아니라 딸에게 하소연할까?

"왜 엄마는 결혼한 딸의 행복한 모습을 보며 흐뭇한 한편 질투도 느낄까?"

"왜 딸은 그런 엄마를 생각하면 미안하면서도 억울하고,

미우면서도 고마운 마음이 들까?"



다양한 여러 모녀관계에서 느끼는 감정또한 여러가지로 다양한데,

집착, 서운함, 애틋함, 고마움, 서러움 등

복잡한 여러 감정이 동시에 들기도 하는 이가 모녀관계인 것 같다.


​우리나라의 가부장적 구조에서

남자에게 의존하며 사는 삶을 택하는 여성들이 많은데 타인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자신을 실현하기 위해 신하고 희생하며 사는 방식을 택한다고 한다.

 

'엄마'를 잃어야 내가 살고,

'나'로 살아야 내 딸아이가 산다고 한다.


엄마는 엄마의 삶을 살면 된다는 말에 참 많은 생각을 했다.


엄마니까 딸의 삶에 관심이 많아 이것저것 행동을 통제하기도 하는데,

그런 이유로 나도 사춘기 시절부터 엄마와의 사이가 많이 멀어졌던 것 같다. <!--[endif]-->

그리고 아빠와의 사이에서 다툼이 있을 때 나에게 하소연을 많이 했었는데,

나에게 아빠와의 싸움을 중제해달라고 요청할 때가 많았었다.

그럴때마다 많이 힘들도 답답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었는데,

그 이유가 딸들은 본능적으로 엄마의 감정을 읽고

엄마의 문제를 자기 것처럼 생각한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힘들었었던 것 같다.


 걱정사랑이라는 이유로 했던 행동들로 인해 모녀관계가 나빠질 수 있다.

딸과 엄마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아이를 믿어주었을때 그정도만 해도 아이의 자존감이 높아진다고 한다.

 

 

사소한 일상을 사랑하는 법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느라

전업주부로 지내는 동안은 조금 자존감이 떨어졌던 시기가 있었다.


내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 돌본다는게 쉽지 않지만,

나를 응원하고 지지하도록 많이 노력하려고 한다.

내가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을 하며 소소한 취미생활도 갖고,

내 스스로의 삶을 즐기며 살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다.


엄마와 딸인 나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 시간을 갖을 수 있었고,

고맙고 미안한 마음과 억울한 마음, 그리고 서운함 마음도

함께들었던 순간들이 있었는데,

여자로 태어나 살다 보면 필연 만나게 되는 이런 마음들을 이해하고,

서로 배려하다보면 엄마와 나의 관계가 조금은 더 돈독해질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