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잠 처방전 - 잠 못 자는 우리 아이를 위한
샤론 무어 지음, 함현주 옮김 / 유월사일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 못 자는 우리 아이를 위한

좋은 잠 처방전




제목에 처방전이라는 글자를 보고, 우리 아이는 잘 자고 있는 걸까?

잠을 잘 못자는 것도 감기에 걸린것처럼 진찰을 받고 처방전을 받아야 하는 건가 싶었어요.

우리 아이는 잘 자고 있는건지 궁금했고, 아이의 수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어요.


부모라면 우리 아이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고 건강하면 더 바랄게 없을 것 같아요.

아이가 잠을 충분히 잘 자고 있는건지

원래 못 자는 아이는 없다며 지금 당장 아이의 잠을 치료하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에 놀라웠어요.


그동안 아이가 확실히 잠을 잘 못자서 수면시간이 부족한 날은

어김없이 컨디션이 안 좋고, 밥도 잘 안 먹고, 재미있게 놀지도 못했던 것 같아요.



"잠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고 말하는데,

우리 아이도 수면 문제를 겪고 있는 건 아닌지 다시한번 살펴보고

아이가 좋은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움을 받고 싶었어요.

 

코가 막히거나 코를 골기도 하면서 잠을 잘 못자기도 했고,

자다가 깨서 울기도 하는 등 자주 뒤척이던 우리 아이 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었는데,

이런 부분도 정상적인 상태는 아니라고 해요.

아 수면 전문가인 짐 파파도폴로스 박사의 말에 의하면,


"코골이는 뇌로 공기 즉, 산소가 전달되지 않도록 목구멍을 마개로 막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코골이는 행동, 학습, 감정에 영향을 줍니다.  

코를 고는 아이는, 심지어 온순하고 보육 기관이나 학교에서 잘 지내더라도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코를 고는 아이들은 지능 검사에서 평균보다 10점 정도 낮은 점수를 보인다고 합니다."


​피곤해서 단지 코가 막혀 코는 조금 고는게 아닌가 생각했고,

별일 아니라고 생각하며 넘겼던 코골이로 인해 앞으로

아이가 자라면서 학습을 할때 받을 고통을 생각하니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러한 아이의 수면 문제는 부모많이 알 수 있는 문제이기에

평소에 아이를 잘 살펴보고 아이에게 잠을 잘 자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고 도움을 주어야 할 것 같아요.

 

 

 

 

 

'성공 육아'와 '실패 육아'는 '잠'이라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요.

아이가 태어나고 밤새 뒤척이거나 깨지않고, 꿀잠을 자주었을 때 조금이나마 쉴 수 있는 시간이 생겼던 것 같아요.

육아를 하면서 힘들고 지치는 원인이 아이의 수면 문제도 있지만,

아이가 잠을 잘 못잤을때 함께잠을 자는 엄마도 수면이 부족했기 때문인 것 같아요.

아이가 자라면서 잠을 잘 잤을때 질 좋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앞으로 아이의 수면 환경에 변화를 주어서 질 좋은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겠어요. 

 

 

<좋은 잠 처방전>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있어요

1장은 수면의 중요성

_잘 자는 것이 왜 중요한지 수면이 부족할 때 아이의 행동, 신체 건강, 성격등에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어요.

2장은 수면에 대한 이해

_수면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이애한 뒤 잘 잔다는것과 잘 못잔다는 것에 대해 알려주고, 우리가 잘 못 생각하고 있는 고정 관념들도 바로잡아 주어요.

 

3장은 수면 문제 파악

_아이는 위험 신고를 보내고 있는데, 부모가 알아차리지 못할 수 도 있기에

어떻게 위험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치료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서도 소개해주어요.

4장은 좋은 수면을 위한 조건

_아이의 수면 문제로 힘들어하는 부모들에게 환경을 바꾸고,

아이의 하루 일과에 변화를 주는 방법을 알려주고 그러인해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도 제시해주어요.

 

5장은 건강한 기도의 중요성

_환경을 바꾸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아이의 기도 근육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근육 기능 치료를 해서 근육 운동을 해서 도움을 주는 치료에 대해서 제안해주어요.

 

 


마지막으로

6장은 전문가가 필요한 경우 

_아이에게 수면 장애가 있는 경우, 환경과 일과의 변화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겠죠.

심각한 수면 장애는 의학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고 치료를 하는 방법을 설명해주어요.

 

 

 

 

 

 

아이들이 잠을 잘 자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지금보다 더 좋아질 것이다."

- 로잘리 실베스트리

엄마도 아이도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니

우리 아이 수면 문제 없이 잘 자고 건강한 아이로 자라기를 바라며,

가족의 행복과 평화에 도움을 주는 <좋은 잠 처방전> 이 책을 만나서 정말 감사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