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안는 것
오야마 준코 지음, 정경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고양이는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안는 거야.” /p.95



고양이 덕후들이라면 아마 모두가 공감할 이 간결한 문장에 매료되어 서평단을 지원했다. 고양이는 안는 것. 고양이는 안는 것이라니. 어쩜 이리 적절한 문장이. 이 소설의 제목은 마치 내 주변에 고양이가 없는데도 내가 고양이를 안고 있는 듯 포근한 느낌을 들게 한다. (물론 고양이털 알레르기를 가진 저는 고양이를 안을 수 없지만 말입니다…또륵)

이 책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5편의 이야기가 모여 하나의 소설이 된다. 1화는 ‘요시오’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요시오는 그 동안 사귀어왔던 사오리를 잃어버리고 애타게 찾아 헤매는데, 그 사오리라는 존재는 바로 다름아닌 인간. 음? 그렇다면 요시오는? 고양이다. 이 소설은 너무나 사랑스럽게도, 의인화된 고양이들의 이야기로 문을 연다. 

소설 <고양이는 안는 것>은 고양이와 고양이, 고양이와 인간, 인간과 인간의 애절하면서도 따뜻한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엮어가는데(p.296), 특히 고양이가 등장하는 이야기들에서는 고양이들의 단순하면서도 시크한 매력을 엿볼 수 있다. 등장인물(이라 쓰고 고양이라 읽습니다)들의 아무렇지 않아보이는 대화들이 읽는 ‘인간’에게는 그저 해맑고, 사랑스럽고, 유쾌하다. 

소설의 이런 면목을 알아본 걸까.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메종 드 히미코>의 감독, 이누도 잇신이 이 책을 영화로 만들었다고 한다. 영화에서도 고양이들을 의인화해 표현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만들었을지 궁금하다. 영화를 찾아 보고 싶은데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어 아쉬워하는 중. 

이 책은 고양이를 사랑하는 분이라면 아마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매 화마다 화자의 시점이 바뀌는 것도 신선하고, 무엇보다 소설에 등장하는 고양이들의 모습을 상상하며 읽는 재미가 있다. 이 책의 서평을 쓰면서 어떤 내용을 적을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사실 남기고 싶은 말은 이 한 마디였다.

고양이는 사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