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은 1504년 12월 5일 강원도 강릉시 죽헌리 북평촌에서 출생하여 1551년 6월 20일 서울 삼청동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현모양처의 상징으로 꼽히는 신사임당은 조선 시대 중기에 시,글씨,그림 자수 등에 뛰어난 여류 예술가이자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던 인물이다.

본명은 신인선이고 사임당은 당호이다. 당호란 본채나 별채를 나타내는 이름인데 신은 성씨이고

당은 안주인이 기거하는 안채를 말하며 사는 스승을 의미한다.

본명보다는 사임당으로 유명한 신사임당은 성리학자 겸 정치가로 충신이었던 율곡 이이 옥산 이우 화가 이매창의 어머니로

유명하다.

외할아버지 이사온에게서 성리학을 기묘사화로 관직을 단념하고 고향에 은거한 아버지 신명화로부터 한학과

성리학을 교육 받으며 성장했다.

감찰을 지낸 이원수와 결혼한 신사임당은 시댁인 한양으로 가지 않고 강릉 친정에서 지내던 중에 아버지가 아들 없이

세상을 떠나자 삼년상을 마칠때 까지 친정인 오죽헌에서 지냈다.

그뒤 한양과 경기도 파주의 시댁과 강원도 강릉의 친정집을 오가면서 친정어머니를 극직히 모신 효녀였다.

아들다섯과 딸둘 등 7남매 자녀를 두고 심장질환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셋째 아들 이이는 대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넷째 아들 이우와 큰딸 이매창은 등은 문인 화가로 명성을 날렸다.

특히 아들 율곡 이이가 과거시험 장원9관왕이 되고 정치적,학문적으로 크게 성공하도록 가르친 어머니로써 정숙한

현모양처의 표상으로 존경받는 겨레의 스승으로 길이 추앙받는 인물이 되었다.

신상임당은 그림,서예,시에서 재주가 탁월하였고,십자수와 옷감 제작에도 뛰어난 솜씨를 보였으며 성리학적 소양이 깊고

도학,문장,고전 역사에도 해박한 지식을 지녔다고 한다.

신사임당은 여성 최초로 지폐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2007년 한국 여성계의 반대와 집단 반발에도 불구하고 5만원 지폐의 주인공으로 신사임당

초상화와 신사임당의 포도 그림을 전격 도안하여 발권 하였다.

신상임당은 새로운 고액권 지폐인5만원권 도안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지구촌 어느 나라에서도 유례를

찾아볼수 없는 최초의 여성 등장인물이 되었다.

새 지폐에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려면 신사임당 대신 류관순을 선정하던가 아니면 다른 여성을 선정하여 도안하라고

여성계가 집단 반발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신사임당을 5만원 주인공으로 선정하였다.

여성이 최초로 화폐 도안 인물로 선정된 것은 그 대상이 누구이건 간에 그만큼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역활이 커졌다는

사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이라는 것이다.

나 또한 어릴적부터 신사임당을 좋아하고 제일 존경하는 인물이다. 그림이나 자식 잘 키우는 모습을 참 본받고

싶었던 인물이다. 자식을 키우다보니 한 없이 어질수는 없는데 어쩜 이렇게 7남매를 잘 키웠느지 참 부럽고

본받고 싶은 대단한 어머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