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생각하는 아이 책은

50여 년 동안 아름답고 놀라운 그림책을 그려 온 그림책 작가 안노 미쓰마사

어린이,배우다,생각하다.에 대한 안노 미쓰마사의 통쾌한 에세이 책 이다.

어른이든 아이든 스스로 생각하는 것은 참 중요한것 같다.

사실 요즘 아이들은 공부하기 바빠서 스스로 생각할 시간이 많이 부족한것 같다.



어린이와 어른이 바라보는 사물의 세계가 다르다는 것은 그림을 그려보게 하면

금방 알 수 있다고 한다.

어린이는 어른과 똑같은 것을 보아도 망원경으로 들여다본 것처럼 그려 내기도 한다고 한다.

어른에게는 멀리 있어서 아주 작게 보이는 새 둥지를,어린이는 한 면 가득 그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어른이 겪어 온 일상의 세계와 어린이가 겪고 있는 일상은 다르다.

텔레비전,스마트폰,컴퓨터처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도 시대에 따라 급변해 왔기 때문에 옛날에는 이랬단다.

라고 어린이에게 이야기를 해도 어린이가 어른의 말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어린이의 기억력이나 어린이가 사물을 대하는 신선한 반응은 어른이 따라잡을 수 없다.

이처럼 어른과 어린이는 살고 있는 세계가 다르기 때문에 어른이 생각하는 대로 어린이가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주

당연한 일이라고 한다.


어린이의 배움은 놀이를 통해 이루어진다.물론 학교에 가는 것은 당연하고 그 자체가 배움이라고 생각하지만

어린이에게 있어서 공부는 어른이 생각하는 공부와는 다르다고 한다.

어른의 관심도 필요하지만 너무 과하면 어린이의 자유가 없어진다.

어린이만의 시간과 어린이만의 세계가 필요하다.


요즘 어린이들은 스스로 현실과 부딪히는 일이 드물다. 어린이의 세계에서도 여러 사건들이 일어나고

좋은 일도 나쁜 일도 겪게 된다. 그속에서 부딪히며 어린이 나름의 갈등을 경험하고 면역력이 생기면서

어린이가 되어 가는 것이다. 하지만 어른들은 그 과정의 소중함을 알지 못하고 억지로 이성적이고 평화로운

장을 만들어 주려고 한다. 어린이들은 그 속에서 부대끼며 실제 몸으로 겪은 일들은 나중에 반드시

도움이 될 거라고 한다.

억울함이나 굴욕감은 어른이 되었을 때보다 어린이였을때 느껴 보는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그렇게 어른이 되어 가는 것이다.

어릴때 느끼는 게 좋은것은 어려서 겪은 굴욕의 아픔은 그후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어린이가 하루 정도면 회복할 수 있는 일을 어른이 되어서 겪으면 회복하는 데 1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스스로의 생각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매사에 도전한다면 실패를 하거나 선택이 잘못되었더라도 고칠 수 있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면서 진실과 거짓을 구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겠고 자신의 생각이 없어지면

무책임해진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휘둘리거나 갈팡거리며 사는 삶은 결코 즐겁지 않다고 한다.

우리 아이도 나도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