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과형의 그런데 이것은 과학책입니다 1 : 고전과학 편 - 교양으로 재밌게 읽는 반전 과학 ㅣ 이과형의 그런데 이것은 과학책입니다 1
이과형(유우종) 지음, 김우람 그림 / 길벗스쿨 / 2024년 9월
평점 :
첫째가 요즘 관심 있게 보고 있는 과학 책 시리즈랑 결이 비슷해서 준비한
이과형의 그런데 이것은 과학책입니다
아들에게 보여주니 유튜버 말투까지 따라하며 잘 알고 있음
고전 과학, 현대 과학 두 편으로 나뉘어 있는데
고전, 현대로 나뉘어 뭔가 심오할 것 같지만
목차를 보면 누구나 쉽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내용들이라 술술 읽힘
이과형의 그런데 이것은 과학책입니다
1. 고전 과학 편


어릴적 물로켓 만들 때 날개까지 붙여 만들었었는데
이번 누리호는 그냥 원기둥 형태로 날개가 없다.
어떤 원리일까 궁금했는데
연필 세워서 균형 잡는 예시는 정말 신박하면서도
이해가 한 번에 됨



쉽게 풀어쓴 과학 이야기도 재밌지만
다들 댓글 학원 다니는지 재밌는 댓글들이 많아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번 주 방문했던 과학관에도 누리호가 전시되어 있었는데 꼬리날개가 달린 로켓 버튼 세 개를 동시에 누르면 누리호가 발사됨
단순 놀이가 아니라 이것도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었군..

가장 재밌었던 내용은
25. 메테오가 불타는 진짜 이유
운석이 불타는 이유가 공기 중 마찰열 때문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정확히는 단열압축에 의한 온도 상승이 맞음
상층부는 공기 입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마찰로는 충분한 열을 만들 수가 없음

이과형의 그런데 이것은 과학책입니다
2. 현대 과학 편
고전 과학이 일반 물리에서 배우는 마찰, 중력, 산과 염기 등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이라면
현대 과학은 더 나아가 우주까지 영역을 넓힘


현대 과학에서 재밌게 읽었던 부분
16. 비행기 창문은 이상합니다

비행기 타면서 창문이 왜 둥글까라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
그저 아름다운 풍경 찍기에만 집중한 듯..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져
비행기 동체가 팽창하는 압력을 받는데
그때 창문이 네모 모양일 경우 응력 균형이 안 맞아
깨지기 쉬움

구멍 뚫린 종이 실험으로 간단히 해볼 수 있어 이해도 잘 됨
알아 두면 쓸모 있는 과학 지식 편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나와있어
저학년 아이들은 이야기 위주로,
고학년 아이들은 과학 지식까지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음

아이는 물론 성인이 읽어도 부담 없이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
생활 과학 상식도 늘릴 수 있고 내용 자체가 재밌어
과학에 흥미 없는 아이들에게 꼭 추천하는 책
길벗스쿨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으며 실제 경험과 솔직한 감상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