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뇨병·대사·내분비의 구조 ㅣ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오다와라 마사토 지음, 김선숙 옮김, 김병준 감수 / 성안당 / 2023년 6월
평점 :
당뇨가 유전이라 평소 신경을 쓰고는 있지만
최근 건강검진에서 대사증후군 소견이 보여
이젠 신경만 써서는 안되는 단계...
당뇨 합병증을 가까이에서 봐왔기에
얼마나 무서운지, 또 힘든지 잘 알고 있어
나와 나의 가족을 위해서라도
이제부터라도 정말 몸 관리해야 할 것 같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우선 당뇨에 대해서
꼼꼼히 알아보기!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현재까지 총 16권으로
해부학부터 영양학까지
우리 몸 구석구석을 다루고 있음
생물 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이 다 있어
복기하는 마음으로 차근히 읽어봄

1장 물질대사와 호르몬의 기능
물질대사가 무엇인지 그림으로 쉽게 설명되어 있음
각 장마다 주요 포인트가 첫 머리에 설명이 되어 있고
중간중간 주요한 키워드는 용어 설명까지 적혀 있어서
일반인들이 보기에 친절한 건강서인거 같음
물질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때
당뇨병과 이상지질혈증이 생길 수 있음
노화의 과정이기도 해서 어쩔 수 없으나
어떻게 생활하는지에 따라
조금 늦추거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지낼 수 있기에 꼼꼼히 읽어봄

2장 당뇨병
당뇨병은 말 그대로 당이 소변에 나오는 병이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친절하게 그림으로 설명해 줌
당뇨병은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대부분 중장년층에서 많이 보이는 건 2형 당뇨

유전적 소인이 높은 것도
가족이면 거의 비슷한 생활패턴을 보이고
같은 음식을 먹기에 더 영향을 받는 거 같음
운동 부족과 과식인 건 다 아는데
정말 바꾸기 힘든게 먹는거 줄이는 것과 운동..
특히 초기엔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유전이라 하더라도 느슨해질 수밖에 없음
오히려 초기 당뇨인 사람들이
더 건강하게 지내는 사람이 많다고 하는데
당뇨 진단을 받고 나면 누구보다 더 열심히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잘 지켜서이기도 한거 같음
그렇다고 진단을 받는 건 정신적인 데미지가 클 것 같다..ㅜㅜ

3장 대사장애
건강검진 소견에 자주 등장하는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개념과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음

기본적인 식이요법은 저염식인데
얼마 전 한국인 나트륨 함량 연구에서
10년 넘게 추적 검사한 결과 나트륨과의 연관성은 적었지만
짠 음식이 입맛을 돋우고 과식으로 이어지면
결국 이상지질, 대사증후군으로 나타날 수 있기에
애초에 입맛을 안당기는 저염식으로 하라는 거 같음
밥도둑 간장게장 안녕~~
결국 비만이 만병의 근원!!
요즘 만보 걷기, 수영, 복싱까지
등록해서 하고 있는데
아직 식이요법은 잘 안 지켜져서
운동 효과를 거의 못 보고 있음.
눈에 보이는 미래지만 왜 이리도 의지가 약해지는지...ㅜㅜ

4장 내분비와 구조
마지막 내분비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데
예전 출산 후 갑상샘 기능 이상으로
얼마 동안 약 먹으면서 수유도 끊은 적 있었음
갑상샘 항진증, 저하증 증세가 서로 헷갈리기도 했었는데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비만이 만병의 근원이고
다이어트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책들보다
우리 몸의 구조가 어떻고
어떤 식으로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팩트가 좀 더 강력한 동기부여가 되는 거 같음
아래 시리즈 다 읽으면
중고등 생물 시험은 거저먹을 듯...
열심히 읽어서 애들한테 조금씩
지식들을 알려줘야겠다. ㅎ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