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구나! 우리 장신구 작은 것의 큰 역사
박세경 지음, 조에스더 그림 / 한솔수북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솔수북-곱구나 우리 장신구

곱구나 우리 장신구는 악세사리를 큰 나뭇가지로 하여 역사적으로 장신구의 모습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특징이 어떤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우리가 박물관에서 본 장신구가 이 책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데 늘 궁금해 하던 장신구의 명칭과 장신구를 둘러싼 이야기가 재미있게 소개되고 있다. 쭉 읽다보니 내가 어렸을 적 가정 가사 시간에 배우던 내용이 들어가 옛날 생각이 나서 웃음 짓게 만든다. 장신구에 얽힌 옛날이야기, 역사적으로 살펴본 장신구의 변천사, 우리 몸의 부위별로 하는 장신구의 쓰임과 이름, 사람의 일생과 함께하는, 특별한 기념일에 하는 장신구이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옛날 장신구들은 알게 모르게 요즘에도 우리 생활 주변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 않을까? 옛날 할머니 장롱 손잡이에 매달려 있던 노리개를 가지고 놀았던 기억이 나는데, 텔레비전 사극을 보고 노리개가 여자 한복에 같이 하는 장신구인 것을 알았던 나..

이 책 중 가락지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나도 결혼할 때 금가락지 한 쌍을 받았는데 왜 반지 한 개가 아닌 두 개일까? 이 책 설명을 보태자면 가락지은 한자로 지환 이라 하는데 남녀가 만나 하나가 된다는 뜻이 있어서 혼인한 여자만 끼었다고 한다. 그러다 남편이 죽으면 가락지 한 짝은 남편 관속에 넣고 나머지 한 짝은 저고리 고름에 매달았다고 한다. 그리고 옛날 가락지에는 박쥐무늬를 많이 넣었는데 박쥐는 복을 가져다준다는 의미라는데. 한자로 박쥐가 복 자라서 우리가 받고 싶은 자와 음이 같았기 때문에 박쥐를 그렸다고 한다.

이처럼 장신구에 관해 백과사전처럼 자세히 소개되어 있는 책, 이 책을 읽고 나서 가정 가사 책을 배우면 더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