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랑
필립 베송 지음, 장소미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앞으로 읽으실 분들께는 적합지 않으며, 상당히 감정적인 리뷰입니다)

 한 남자의 익사체가 발견된다. 실종신고가 된 상태였고, 자살인지, 타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남자에게는 두 명의 연인이 있었고, 그 중 하나는 실종신고를 한 그의 약혼녀였다. 남자의 약혼녀, 안나. 좀 더 농밀해지기를 바라는 그녀와 달리 일정 거리를 항상 유지하려는 남자를 알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달라질 거라 믿었고, 무엇도 의심하지 않았다. 남자의 또 하나의 연인 레오. 직업상 만났지만, 남자는 그를 찾는 다른 이들과 달랐다. 레오는 안나와 달리 남자의 죽음 전부터 그녀를 알고 있었다.

 죽은 남자의 이름도 나오고, 분명히 기억하고 있지만... 이 비겁하고 추한 인간의 이름은 굳이 적고 싶지 않다. 소설은 괜찮았지만, 남자가 너무 싫어서; 감정을 삭이고자 리뷰를 쓰는 것까지 꽤 시간이 필요했는데... 여전히 죽은 남자에 대한 생각이나 인식에는 별반 달라진 게 없다. 가족과 지인은 물론, 사회의 시선이 두렵고 겁났다 해도 인간으로서 결코 해서는 안될 짓을 한 것은 자명하니까. 안나에 대한 감정도 사랑이었다지만, 아니 사랑이었다 해도 그의 이기적인 행동에 면죄부가 되진 않는다. 정말 사랑이라면, 적어도 안나에게는 자신에 대해서, 레오와 레오에 대한 감정에 대해서 솔직해야만 했다. 레오에게 그랬던 것처럼 안나에게도 알려주었어야 한다. 그리고 레오에게도... 안나에 대해서 다 털어놓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다. 남자는, 레오의 직업이나 처지를 악용해서 안나와는 다른 형태로 레오를 농락하며 스스로는 위안을 얻었다. 음지에 있는 레오를, 남자는 더더욱 음지로 몰아넣었다.

 결국 몹쓸 인간 하나로 인해서 안나와 레오는 비극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다. 썩을 놈. 사랑이라니, 둘 다 사랑했다니. 게다가 사정을 알면 안나도 모두 이해할 거라니, 맙소사! 감정이라는 건 너무도 개인적이고 내밀한 것이지만, 미안하다... 네가 나쁜 놈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네 유약함과 못남에 일말의 연민도 느낄 수 없다. 만약에 안나 혹은 레오에 의해서 죽임을 당했거나 최후까지 비겁한 인간의 말로답게 괴로워하다 자살했다면... 조금쯤은 다른 감정이 느껴졌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어이없을 정도로 황당한 죽음이라서, 화만 더 났다.

 소설은 꽤 흥미롭다. 뭐라 정의할 수 없는 프랑스 소설 특유의 분위기와 여운이 남지만 속도감 있게 술술 읽힌다. 뒤통수 제대로 맞은 안나는 개인적으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어쨌든 딱하고, 이전에도 이후에도 음지에 머물러 있을 가련한 레오에게는 연민이 느껴진다. 하지만 최후마저 추한 남자는 찝찝함만을 남길 뿐. 그래서 별 셋. 비겁하고 치졸한 남자때문에 감정적이 된 내게 그 이상은 무리다, 작가에게는 미안하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09-01-18 14:24   좋아요 0 | URL
윽. 저는 상당히 감정적으로 쓰셨다는 이 리뷰 때문에 책이 궁금해지는데요? 보관함에 넣어야겠어요.

Kir 2009-01-19 00:34   좋아요 0 | URL
읽기 전인데 리뷰를 보셨군요^^; 스포일러없이 쓰려고 애써봤는데 영 안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