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 개정판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방인을 읽기전에 이방인의 정확한의미를 찾아봤다.

사전적 의미에서 이방인은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 <기독교>유대인이 선민의식에서 그들 이외의 여러민족을 얕잡아 이르는 말.

사전적의미의 이방인을 생각하며 책을 읽었다.

이방인... 요새 이방인은 문학쪽에서 큰 관심을 받고있다. 이정서씨가 쓴 이방인에<우리가 알고있는 이방인은 알베르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라는 자극적인 문구로 소개가 되있다.

작가가 전하고 싶었던 얘기는 사회속에서 변두리의 사적이고 고독하며 관능적인 삶을 살면서 그 가장자리를 떠도는 뫼르소는 이질적인 존재다. 독자의 한사람으로 누가 번역하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중요한 건 작가가 우리에게 전달해 주고 싶은 부분을 독자가 이해를 하고 느꼈느냐!이다.

요양원에서 엄마가 돌아가셨다는 얘기를 듣고도 평소처럼 설레스트네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2시간 거리의 요양원까지 잠을 청하며 갔다. 도착후 요양원 수위가 관뚜껑을 열어주려하지만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수위가 물어보지만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상식으로 생각하며 엄마가 돌아가시고 슬퍼할 시간도 없겠지만  뫼르소는 잘 모른다고 답한다.

뫼르소가 보통사람이 하는 반응은 보이지 않지만 뫼르소는 자기만의 감정이 있는 것 같다.

꼭 엄마의 장례식에 울면서 슬픔을 표출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울어서만 슬픔을 표현할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뫼르소처럼 따뜻한 밀크커피한잔을 마시면서 슬픔을 표현할 수도 있을 수 있다. 사람마다 생각의 차이가 다르듯이 뫼르소도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표현방식으로 슬픔을 내색하고 있는 것같다.

어머니 장례를 다치르고 불과 며칠지난 후에 마리를 만나고 여자와의 잠자리를 서슴없이 하고 마리가 자기를 사랑하냐고 묻지만 사랑하지는 않지만 결혼하지만 결혼 할 수는 있다라고 대답한다.

이 부분을 읽었을 때 뫼르소는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인 사랑, 행복, 기쁨, 슬픔, 불안....이런 감정들이 복잡하게 느끼는 것이 아닌 단순함 그자체인것 같다.

사랑하지않지만 결혼하자면 할 수 있다는 것. 마리를 좋아하지만 그 감정이 사랑이라는 복잡한 부분으로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결혼은 할 수 있다. 마리와 잠자리를 하고 싶고 마리와 함께 있고 싶다고 생각한다.

뫼르소의 단순한 감정을 알려주는 또 한 사건은 아랍인을 살해하지만 그 아랍인을 증오하지도 싫어하지도 분노하지도 않았다. 자신과 특별한 관계가 없는 인물이다.

엄마의 장례식을 치르던 날과 똑같은 태양이 내리쬐는 해변에서 아랍인을 살해한다.

아무런 이유없이 단순히 태양이 뜨거워서..

단순한 이유지만 뫼르소의 심정은 그랬던 것 같다. 엄마의 장례식에서 표출하지 못했던 감정이 단순하게 해변의 아랍인에게로 표출된 것이다. 살인을 하지만 죄책감이나 미안함 불안함 같은 건 없다.

재판을 받고 재판장안에서 나는 이방인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느꼈다. 다른나라에서 온 사람.

재판장안의 사람들은 모두 뫼르소는 다른나라에서 온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판사 변호사 검사 배심원들 그중에 묏로의 감정을 느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방인이 된 것이다.

사형확정을 받고 사제와 얘기하다가 그는 기쁨과 분노가 뒤섞여 격앙된 상태로 표출한다.

"난 나 자신에 대해 확신하고 모든 것에 대해 확신해"

"난 이전에도 옳았고 여전히 옳고, 언제나 옳아"

"다른사람들의 죽음, 엄마에 대한 사랑이 다 무슨 소용이야. 당신이 말하는 신, 사람들이 선택하는 저마다의 삶, 그들이 고른 운명이 이런들 어떻고 저런들 뭐가 중요할까."

하고싶은말, 거대한 분노를 다 씻어내고 처음으로 세상의 애정어린 무심함을 뫼스로 자신을 향해 열었다. 세상이 그처럼 나와 닮았다는 것을 그토록 형제같다는 것을.

사형을 앞두고 알게된다. 세상이 닮아있단 것을. 세상이 가장 무심하다는 것을.

처음 알베르 카뮈를 읽었을 때는 뫼르소의 생각을 읽어낼 수가 없었다.  어머니의 장례식에 울지도 않고 뿐만아니라 슬퍼하는 기색하나 없기 때문에 뫼르소라는 사람자체를 이해 할 수가 없었다.

다 읽고나서 카뮈의 서문 읽어봤다. 서문에는 카뮈가 이방인을 쓸 무렵에 [반항의 인간]의 여파로 논쟁에 휘말리고 각종 오해와 외곡, 비난에 대응했던 시기라 추정된다고 나와있다.

서문을 다 읽고난 후 다시 한번 읽었던 이방인은 처음 읽었던 내용과 전혀 다르게 해석됐다.

카뮈의 심정이 고스란히 들어가있는 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읽어나갈 수 있었다. 세상이 그에게 오해와 왜곡 비난만을 하고 있을 때 그는 이방인이의 감정을 느꼈을 것이다.

항상 모든책은 한번읽을 때와 두번째 읽었을 때 느낌은 많이 다르지만 이방인은 여태껏 읽었던 책중에 느낌이 가장 달랐던 책이었다. 작가는 뫼르소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는 독자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을만큼 뫼르소가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그런 얘기를 한 것 같다.

두번째는 작가의 심정을 느꼈다면 세번째 읽을 때는 또다른 느낌 일 것이다. 뫼르소의 심정을 느끼는 한 사람의 독자가 되기위해서 세번째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