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투쟁 2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지음, 손화수 옮김 / 한길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는 이제 우리 문단에서도 '힙'한 이름이 되었다. 자신의 지난 날을 여과없이 드러낸 검시표 같은 소설에 많은 이들이 빠져들었다. 하지만 이제 겨우 첫발을 뗐을 뿐, 아직 최소 다섯 권이 더 출시될 예정이다. 그리하여 투쟁은 현재진행 중이다. 앞선 1권이 작가의 유년시절과 아버지의 죽음을 전장으로 삼았다면,  2권은 작가가 겪은 사랑과 그 후의 일상을 다루고 있다. 


책은 가정을 꾸리고 육아에 전념하는 작가의 일상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랑을 비추기에 앞서 '사랑 이후'를 먼저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리뷰의 제목은 '일상과 그 전의 야만적 사랑'이 적절한지 모른다) 어느새 작가는 아내 린다의 남편이자 세 아이의 아버지가 되어 있다. 분명 가족을 아끼고 사랑하지만 육아는 상당히 지리한 것으로 묘사된다. 앞선 1권에서 그랬듯 여기에는 아무 과감이 없다. 예쁘게 포장된 부성이 아닌 현실 속의 한 가장이 있을 뿐이다. 사랑과 그에 따른 책임감이 번갈아 가며 작가를 사로잡는다.

 나는 고개를 숙이고 팔을 들어 이마에 흐르는 땀을 소매로 닦았다. 
 "제비뽑기 한 번만 더 하면 안 돼, 아빠?" 바니아가 물었다. 
 "안 돼! 너는 이미 제비뽑기에 당첨돼서 인형도 받았잖아!" 
 "이 세상에서 제일 착한 아빠, 한 번만 더, 딱 한 번만 더..." 나는 대꾸하지 않고 린다를 향해 걸음을 옮겼다.

작가 특유의 삶과 세상에 대한 통찰도 계속된다. 유년기 아이들을 보며 인간 본성과 성장 과정을 직시할 기회를 얻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생각들은 사변적이다. 내러티브를 구성하는데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것들은 충분히 매력적이라 훌륭한 페이지 터너(page-turner)가 된다. 

 인간은 같은 조건으로 평등하게 태어나지만 성장하면서 접하는 외부적 환경 때문에 저마다 다른 인성을 형성한다고 하는 말은 진실이라 할 수 없다. 오히려 진실은 이와 정반대다. 인간은 저마다 다른 인성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외부적 환경에 따라 서로 비슷비슷하게 또는 평등하게 변해간다 (...) 아이들의 독특한 성격은 세상에 태어나서 몇 주나 지난 뒤부터 조심스레 조금씩 나타난다. 이 독특함은 새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아이가 가지고 있던 것이다. 

그렇게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어느새 이 모든 일상의 원인을 마주하게 된다. 바로 사랑이다.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야만적이고 낯설어 두렵기까지' 한 것이다. 평온했던 일상을 갈기갈기 찢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꿈꾸게 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아내가 된 린다. 작가는 수년 전 우연히 그녀를 처음 만나자마자 운명을 직감한다. 그러나 함부로 다가갈 수는 없다. 본인 스스로가 이미 결혼한 몸이었던 탓이다.

 이 무슨 정신 나간 짓인가. 나는 발걸음을 옮기며 생각에 잠겼다. 나는 이미 결혼한 사람이고 사랑하는 아내와 함께 조만간 집을 구입할 계획도 세우고 있는데, 이제 와서 모든 일을 망쳐버릴 생각이란 말인가. 
 그러고 싶었다.

"그러고 싶었다"는 고백처럼 결국 그는 사랑이 이끄는 대로 움직이게 된다. 그 과정은 물론 복잡하고 험난하다. 목표에 맞춰 온몸을 던지는 삶이 매번 그렇듯 그는 자주 무기력해진다. 커져가는 사랑 앞에서 쉽게 좌절하고 무너지는 평범한 우리의 모습과 비슷하다. 

 나는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생각했다. 내 입에서 나오는 말은 하나같이 바보 같은 말 뿐이었다. 하지만 다른 할 말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은 함께 만나 어떤 이야기를 할까 (...) 도대체 나는 무엇을 기대했던 것일까. 우리는 그저 한 번 만나서 가벼운 대화를 나누었을 뿐이다. 처음부터 뭔가 바라고 그녀를 만났던 건 아니잖은가.
 "완벽해요. 이보다 더 완벽할 순 없어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이런 느낌을 가져본 적이 없어요. 행복해요. 당신이 있어 너무나 행복해요." 
 "나도 그래요."
우여곡절 끝에 사랑은 성취되고, 곧 이어 충격적인 행복이 그들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아무리 그것이 야만적이라 할지라도 역시 사랑은 잠시 뿐. 새롭게 시작되는 일상은 길다. 생활인으로서 다시 길고 치열한 싸움을 시작해야할 때가 된 것이다. 2권은 첫 아이의 출산을 예고하며 그렇게 끝이 난다. 다음 권에서 투쟁은 계속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