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 영국 최고 법정신의학자의 26년간 현장 기록
리처드 테일러 지음, 공민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가 멀다하고 뉴스를 장식하는 수 많은 사건사고들을 접하다보면 항상 궁금해졌다.

과연 저 사람들은 왜 저런짓을 했을까?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환경에서 자랐길래 저토록 무자비한 행동을 하는걸까?

요즘 자주 접하게 되는 묻지마 범죄 뿐만이 아니라 그 대상이 아무 죄 없는 그저 이 세상에 태어났을뿐인 아이일때 더 화가나고 또 대체 왜 그랬는지 알고싶기도 했다.

그래서 이 책을 봤을때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26년간 영국 최고 법정신의학자로 지내며 겪었던 환자들과 사건들에 관한 이야기. 그들의 머릿속을 들여다 본 사람의 이야기이기에 이 책을 읽으면 늘 궁금해하던 "왜?"가 해결될 것 같았다.

책 속에는 작가가 만났던 환자들을 여러가지 분류로 나눠놓았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정신이상, 머릿속에서 누군가가 명령을 내린다던가 환청이 들려서 살인을 저지른 환자들부터 어릴적 트라우마나 지속적인 폭력에 의한 살인, 과도한 종교적 맹신에 의한 살인 등등 다양한 살인사건들이 나온다.

이 세상의 모든 정신 질환자들이 모두 이런 사건을 벌이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정신 질환을 갖지 않은 사람들이 이런 사건을 벌이지 않는 것도 아니다.

어쨌거나 중요한 건 정말 아무 이유 없는 살인은 없다는 것이다.

책 속에 나오는 환자들에 대해 읽다보면 그들이 그런일을 벌이게 된 것에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작용을 했고 무엇보다도 성장 과정이 정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같은 성장 과정을 겪어도 그 환자와 같은 일을 벌이지 않는 사람도 분명 있을것이다.

그 부분 때문에 정신의학이 필요한 것일테고.

정신의학은 병변이 눈으로 확인되는 분야도 아니고 사실 주변에 숨기게 되는 병이기에 빠른 치료가 힘든것같다.

이 부분이 분명 사회 더 나아가 나라가 책임지고 해결해줘야 할 부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어떠한 사건이 일어나고 나서야 제도적 발판을 마련하려하고 또 그마저도 시간이 지나고나면 흐지부지되기 일쑤인데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을 반복하지 말고 조금더 적극적으로 제도적 발판을 마련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책을 읽으며 가장 안타까웠던 부분은 산후우울로 인해 자신의 아이를 살해하는 엄마들과 폭력으로 살해 당하고 그 폭력을 견디다못해 피해자에서 가해자가 된 여성들에 대한 부분이었다.

아무래도 요즘 뉴스에서 너무 자주 접하게 되는 이야기라 더욱 그랬던 것 같다.

책 구절중에 이 책을 읽고나면 페미니스트가 될 수도 있다는 농담같은 구절이 있었는데 무슨 말인지 너무 잘 느껴져서 안타까웠다.

결국 이 세상의 폭력은 더 약하고 더 힘없는 존재들을 향하기에 세상의 관심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법정신의학자로서 나는 결별과 이사보다 

한층 파괴적인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심각한 방임과 학대는 

내가 인터뷰한 대부분의 죄수들의 성장 배경에서 빠지지 않는 부분이고 이러한 부모의 습성이 유전된다는 증거처럼 보였다.

모든 부모는 기필코 

신의 어린 시절을 다음 세대에 대물림하지 않아야 한다.


-p. 187"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