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기행을 벌이며 폭정을 일삼던 카롤 2세에 맞서 이온 안토네스쿠 장군은 1940년 9월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리고는 제정신이 아니었던 카롤 2세를 쫓아내고 19살인 미하이 1세를 왕으로 세우고 전직 정권과 관련되어 있거나 또는 무능한 80명의 군 인사들을 퇴역시키며 권력을 잡았다.


한편 이 시기에 대외적인 상황은 루마니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1940년 6월에는 독일군에 의해 파리가 점령당했으며 이는 루마니아의 몇 안되는 우방국인 프랑스마저 몰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틈을 타서 소련은 루마니아로부터 베사라비아(몰도바)를 강탈해갔고 나치 독일은 유전 지대를 통한 석유 공급을 요구해왔다. 이러면서 한 때 친영적 성향을 보이던 안토네스쿠는 친독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마침내 1941년 6월 22일, 안토네스쿠 정권은 베사라비아를 되찾기 위해 독일과 연합을 맺고 대소전에 참여를 선언했다. 이때는 마니우 같은 반독 정치인들이 보기에도 대소전 참전은 정당화 될 수 있었으며 국민들 사이에서도 지지가 높았다. 어쨌거나 독일군의 공세 흐름 덕분에 1941년 7~8월 베사라비아가 루마니아의 수중에 들어왔고 미하이 1세를 비롯한 많은 인사들은 여기서 전쟁을 끝내고 싶어했다.


실제로 만약 이때 전쟁에서 발을 뺐다면 루마니아가 전범국 신세를 면했을지도 모르는게 영국 정부는 1941년 12월까지도 루마니아의 어려움을 이해한다는 뜻에서 아직 루마니아에 대해선 전쟁을 선포하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토네스쿠 정권은 드니에스테르를 가로질러 소련 국경을 넘어버렸는데 스탈린그라드까지 진출한 루마니아군 1개 사단은 포로가 되었으며 나머지 6개 사단은 전쟁 동안 크리미아 반도에 묵여있는 등 커다란 실책을 저지르며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에 루마니아도 유대인 학살에 동조했다고 한다. 먼저 학살이 시작된 곳은 베사라비아 지역과 부코비나 지역으로 110,033명이 넘는 사람들이 강제 이송되었다. 그 과정이나 이송 후의 열악한 환경으로 그 중 59,392명이 1943년까지 사망했다. 이러한 안토네스쿠 정권기 내 유대인 학살 정책으로 사망한 인원은 약 40만명 가까이 되며 이는 추축국 중에서 심각한 편이었다.


결국 이러한 루마니아의 추축국 행보에 미국은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 있었던 회의 이후 모든 적국에게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면서 다소 루마니아에 대해 온건한 편이던 영국의 타협 시도를 물 건너가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안토네스쿠 정권은 줄을 잘못 섰다간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독일의 압력에 적당히 얼버무리기만 했고 연합국과의 접촉 시도는 베른, 이스탄불, 마드리드, 스톡홀름에서 이뤄졌지만 연합국의 단호한 태도로 인해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1944년 8월 23일, 보다못한 미하이 1세는 안토네스쿠를 왕궁으로 불러들인 뒤 갑작스럽게 체포해 공산주의자들에게 넘겼다. 그 후 독일 공군은 부쿠레슈티 왕궁을 폭격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소련군이 진입하면서 루마니아도 공산화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1. 루마니아는 2차대전 초기 추축국 가담은 나름 명분도 있었고
2. 또 실질적으로 성과를 거두기도 했음.
3. 그러나 제때 물러나지 못한 덕분에 전쟁에서 못빠져나왔고
4. 그 결과 소련의 공산화 물결을 피해가지 못함.


출처

- 에드워드 베르, <차우셰스쿠 악마의 손에 키스를>, 연암서가, 2010, p122~134

- http://www.worldwar2.ro/generali/?article=96 (WorldWar2.ro - Marshal Ion Antonescu)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