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된 한패
플로르 바쉐르 지음, 권명희 옮김 / 밝은세상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경제 스릴러물이다. 주로 정치, 경제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고 그 안에서 일어난 한 인물의 살인사건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파헤치고 있다.


정경유착. 우리나라에서도 이 문제는 끊이지 않고 벌어지고 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작해 뉴스에 나오지 않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해도 우리 국민들은 그냥 또 모르는 척 넘어가 준다. 정치와 경제 쪽 고위 관직들이 서로 작당을 하고 손을 잡는 동안 우리 국민들은 계속해서 피해를 본다. 직접적인 피해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피해를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 미친 직,간접적인 피해의 한 예로 몇 년 전 일어난 '세월호 사고'를 떠올리게 되었다. 정경유착으로 부실한 배를 운영하고 그 피해를 고스란히 죄없는 학생들과 사람들이 받았다. 그 일로 상심이 큰 국민들이 침체되어 경기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나라 전체가 흔들리고 말았다.


유럽연합이 이루어지고 유로존으로 인해 무리한 그리스 사태가 벌어진다. 이 때 그리스가 유로존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회계장부를 조작해준 곳이 바로 미국 최대의 다국적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책에서는 '폴만팍스'로 이름을 살짝 바꿔서 나온다. '폴만팍스'의 유럽 금융협상 전문가 '세바스티앙'은 이 그리스 회계장부 조작 사건을 은폐하라는 회사의 지시를 받고 울분하며 잘못을 바로잡고자 노력하지만 도움을 요청한 친구들은 신경도 쓰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세바스티앙'이 철로에서 기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벌어지고 이것이 사고가 아니라 사건인 듯한 냄새를 맡은 6명의 친구들이 다함께 의구심을 품게 된다.


이 책은 우선 표지가 너무 깔끔하고 예뻤다. 빨간 배경 속에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빌딩들, 그 건물들을 바라보고 서 있는 사람들의 뒷모습. 제일 중간에 서 있는 남자가 '세바스티앙'일까? 생각해보았다. 암울한 현대 자본주의 속에서 방황하고 흔들리는 우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개인적으로 내용은 나에게 조금 어렵게 다가왔다. 정치와 경제에 대해 문외한일 뿐더러 작가가 원래 칼럼니스트라서 그런지 어려운 비유를 많이 사용하였다. 프랑스식 비유일까. 나만 못 알아보는 걸까. 계속해서 의구심을 품은 것은 꼭 '세바스티앙'의 여섯 친구들과 같았다ㅠ


이 책에는 실제 인물이 나오고 실제하는 회사가 나온다. 이름은 살짝 바꿨지만 누구나 보면 알아차릴 수 있게 내용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심지어 그 이름 옆에 괄호로 실제하는 회사의 이름을 주석으로 달아놓기도 했다. 이렇게 대놓고 소설에서 특정 회사의 뒷이야기와 정치, 권력의 문제점을 이야기해도 괜찮을까 싶었지만 뭐 요즘은 언론의 자유라는게 있으니깐 프랑스에서도 그런 것은 눈감아주나 싶었다. 아무튼 모르는 것을 많이 알게 되었고 전세계 어디에서나 정치와 경제, 권력의 남용은 존재하는구나 하는 씁쓸한 생각도 하게 되었다.



 

세상은 표면적으론 잔인하고 내부적으론 미쳐 돌아가고 있다.   -데이빗 린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