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이 서울에게 - 제2회 비룡소 역사동화상 대상 수상작 일공일삼 108
이현지 지음, 김규택 그림 / 비룡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2회 비룡소 역사동화 <한성이 서울에게>
이번에는 백제의 이야기를 담았구나! 제목에서 느낄 수 있었다.

울이네 집에는 불청객이 산다.
코딱지만한 민폐쟁이를 만난 건 죽은 오빠의
천도제를 지내던 날이었다.
자기 이름을 성이라 밝힌 금귀고리를 한 귀신은
그때부터 쭉 울이네 집에서 살았다.

울이와 나이 차이가 한참 나는 대학생 오빠는
세상을 비추는 해님처럼 따뜻한 사람이었다.
어느 날, 물에 빠진 아이를 구하다가 세상을
떠났고 그후 엄마는 오빠의 장례식 이후 방에서 나오지 않았다. 가족 모두 드라마의 주인공이 죽은 듯한 감정을 느낀다.
울이는 오빠를 좋아했지만 오빠를 닮고 싶지 않았다.

“나는 오빠랑은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될 거야.
나는 쌩쌩 부는 바람이 될 거야.”

울이네 동네는 역사문화환경 보존 지역인데
성이는 아주 오래전 여기가 자기가 살던 곳이라 했다.
이천 년 전 성이가 어릴 때 천연두에 걸려
죽었고, 엄마는 성이를 땅에 묻으며 저승에서
잘 살기를 바라며 가장 아끼던 물건을 무덤 속에 함께
넣어 주었다. 성이는 자신이 깃들 물건이 무사히 발굴되어
박물관에 가는 것이 소망이었다.

울이네 집에 문화재가 묻혀 있다는 소문을듣고
도굴꾼들이 찾아왔다.

‘사랑하는 마음이 가장 크다’라고 말했던 오빠와 정반대로
살고 싶었던 울이었지만 성이를 위해 유물을 지켜내기로
결심한다.

울이와 성이는 도굴꾼들에게 유물을 뺏기지
않으려 애쓰지만 노력은 수포로 돌아간다.


이천 년이 지났다고 사랑했던 마음까지
다 흙먼지가 된 줄 아세요?
저건 돈이 아니에요. 남겨진 사람이 떠난
사람을 사랑했던 마음이에요.
그러니까 아무도 훔쳐 갈 수 없다고요!


204쪽의 이야기를 담은 <한성이 서울에게>는
역사적 배경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판타지를
가미해 흥미진진하면서도 감동을 안겨 준 동화였다.
주인공 울이와 성이의 이름을 통해 한성백제에서
서울을 알 수 있었다.

난 아직도 잘 모르겠다. 다 똑같아 보이는
흙 그릇 백 개를 박물관에 전시하는 까닭도
모르겠고, 그걸 보고 뭘 배우란 말인지는
더더욱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건 이
유물들은 단순한 흙덩이나 돈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건 한성이 서울에게 전해 주는 사랑의 흔적이었다.



이 책이 전하고자하는 메시지는 바로 이 문장인 듯했다.
아이들이 우리 문화재를 보고 지식으로써 접근하기 보다
선조들이 사랑하며 살아온 그 마음을 느끼는 것.
역사는 지나온 이야기가 아닌 우리 현재와 이어진 삶의
연결고리임을 알려 주고 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