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으로 과학하기
박재용 지음 / 생각학교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담과 과학 연관이 있을거 같아요. 괴담을 무조건 믿지않고 과학적으로 논리적으로 따져서 보면 덜 무서울거 같아요. 

흡혈귀부터 AI를 지나 중세로 시작해 현대까지 인간, 사회, 과학을 이해하는 11가지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작가 박재용님은 과학 저술가 이자 커뮤니케이터, 대학에서 물리를 전공하다가 그만둔후, 다른 길을 걷다가 전업작가로 일한다.

과학과 과학이 바뀐 역사 그리고 사회에 대한 글을 주로 쓴다. 

EBS다큐프라임 '생명40억년의 비밀' 시리즈의 '멸종, 짝짓기, 경계'를 집필했고, '녹색성장 말고 기후정의''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과학 4.0, 지구를 선택한 사람들'등 20여종의 책을 출간했다.

'기후 위기이 본질과 대책, 생명 진화40억년의 비밀, 과학, 인문학에 묻다'등의 강연을 진행했다. '과학과 일상, 과학과 예술의 만남, 과학 문화의 확산에 관심ㅇ르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계기를 만들어 내려해서 이렇게 괴담으로 과학하기란 책도 접할수 있었습니다.

과학하면 어렵고 뭔가 체계적일거 같은데 괴담으로 다가가니 새롭고 뭔가 호기심이 잔뜩 들거 같아요. 읽는 순간 단숨에 읽게 됩니다.

흡혈귀, 좀비가 어떻게 나오는지 왜 나오게 됬는지 서술이 되어있습니다.




드라큘라 이야기 좀비 이야기가 멀지 않은 우리 주변 생활에서 좀 과장 되서 나온 이야기이지만 다 인간의 몸에서 우리 환경에서 접하면서 접촉하면서 인간이 만들어 낸 이야기가 곁들어 지면서 나오게 된 경유를 설명해 줍니다.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괴담으로 과학하기 재미있습니다.

이 폭염에 불볕더위에 꼼짝하기 싫은 날에 괴담으로 과학하기 순삭 읽을 수 있을거 같아요.

폴터 가이스트 유령과 연관이 있는 용어 인지도 처음 알았습니다. 진동으로 떠다니는 것으로 유령이라고 생각했는데.. 주변에 집주변에 사람이 죽었다고 하면..

유령이 떠오르는데 과학용어인 폴더가이스트로 인한 현상이라고 풀어 해설해 주니 재미있습니다. 유령 하면 무작정 무서워만 할게 아닌 인관관계를 알면 무서움이 반감이 될거 같아요. 



출판사의 도서지원으로 작성한 솔직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