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의 관점으로 바라보면 세상을 더 잘 이해할수 있어요 라는 문구에 어렵지만 도전해서 읽어보려는 의욕이 생겼습니다. 

물리학에는 4차원 세계, 상대성 이론, 소립자, 시간과 공간 같은 것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이야기들을 알아내는 벙법을 찾기도 하고 물리학의 길로 접어 들었다는 포부를 글 소개글에 올리셨습니다.

물리학의 정의로 지금 하고 있는 공부에서 방향을 잡을 수 있을거 같아요. 물리학이 우리 생활에 어떻게 이용이 되는 지도 알려주네요. 

천문학 별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어려운 수학공식이 나열되고 별이 떠 있는 사진이 멋지지만 어려운 길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실용적인 목적으로 발달 했다고 합니다. 달력을 만들어 농사에 이용하고, 어업이나 항해에 참고 하기 위해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계절을 느끼는 것을 넘어서 규칙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언제 씨를 뿌리고 열매를 보관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에요. 어부는 언제 밀물이 들어오고 썰물이 나가는지 알아야 하고 , 밀물과 썰물 은 달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바다에 나가면 방향과 시간을 파악하기도 어려워서 항해하는 사람들에게 별은 방향을 알려주는 귀중한 지표였다고 합니다. 천문학이 이런 이유로 가장 발달했다고 해요.


 

물리학으로 우리가 사는 지구를 이해 할 수 있는 사실로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축에 대해서 약23.5더 기울어 져 있다는 사실은 우연한 결과이며 단순한 지식이다고 합니다. 오래전 물질들이 뭉쳐서 지구를 만들때의 어떤 치우침, 지구 주변을 어떤 물체가 스쳐 지나가거나 충돌해서 준 영항이 합쳐진 결과로 계절이라는 현상이 생겼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글을 읽으면서 무심코 바라보던 하늘에 이런 깊은 이야기가 있다는 깨우침에 하루하루가 그냥 사는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되는 책입니다.

아이들도 읽어보면 하루하루 사는 삶이 다르게 느껴질거 같아요. 


출판사의 도서지원으로 작성한 솔직후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