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세대 내 아이와 소통하는 법 - 지혜로운 부모는 게임에서 아이의 미래를 본다
이장주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게임으로 매일 전쟁과 잔소리에서 해결책을 찾을수 있을까 해서 이 책을 찾아 보길 원했습니다. 걱정했던 것과 달리 이 책에서 우리아이들이 사회에 진출한 시기에는 얼마나 다양한 게임 경험을 했는가가 첨단 기술 회사에 입사하는 기준 중 하나가 될거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게임을 살펴보고 즐겨하지 않는 게임이 있다면 그 이유가 뭔지 살펴보는것도 미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노력중 하나라고 해요. 모르고 잔소리하는 거 보다 알고 같이 이아기하고 준비하는 지혜로운 부모로 자라라고 합니다. 다양한 유형의 게임이 있는데, 게임도 균형있게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균형있는 게임 지도에는 게임 경험이 많은 아버지들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아버지 의 말 한마디에 수긍하는 아이를 보면 그런거 같아요. 아버지의 보살핌으로 게임도 허용하고 엄마 몰래 게임도 구입해 주시고 기계도 업그레이드 해주시고 끊임없이 이야기 하면서 수다수다하다가 축구 이야기도 하고, 공부 이야기도 하고 엄마 이야기는 아예 원천 봉쇄 숨구멍이 있으니 귀도 트이듯이..

지금 아이와 함께 게임을 함꼐 즐기면서 미래를 위해 게임을 가이드 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것, 그런 부모의 노력이 필요한 때 라고 해요. 

게임엔 정말 테트리스 버블 버블 스타크래프트 리니지만 알고 있었는데.. 무궁무진한 게임이 있네요.

체스도 하는 아이를 보고 오~~ 정말 다양한 게임 개발자가 많아서 손을 놓게 되었는데,. 작가님은 준비를 하라고 하십니다.

게임에 대한 우리 아이의 착가 부모가 내 아이를 잘 알고 있다는 믿음도 익숙함에서 오는 착각 일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는 아는 게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와 게임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믿음이 같은 갈등을 반복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생각이 든다고 해요. 매번 같은 잔소리 같은 게임 속 화는 솟구치고 방법은 모르고 알려고도 노력하지 않고..

재미있는 일을 하다가 정해진 시간을 놓치는 건 어른들도 자주하는 실수 같아요. 10년 남짓 살아온 아이들에게 어른도 힘든 시간 엄수를 강요하는 건 정말 답답한 길을 가는 거 같아요.


평범한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게임 탓으로 돌리고 문제 삼는 행위, 게임의 문제를 아이의 성격이나 심성의 문제로 돌리는 행위는 부모자식 사이를 더 멀어지게 하는 상황이 된다고 뼈져리게 느끼게 될거 같아요.

지혜로운 부모는 게임하는 아이를 한 덩어리로 보지않고 여러모로 구분해서 본데요.

그런 분별력이 필요하데요. 게임하는 아이를 보면서 막연하게 걱정을 하기보다는 우리 아이가 지금 어떤 성장 단계를 지나고 있는지 이해해야 한데요. 더 큰 차원에서 아이를 바라 볼수 있고 이해도 깊어 진다고 합니다.

매순간 꺠어서 분별력을 가지고 아이를 바라볼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 이 책에도 나와있는 거 같아서 잘 보게 됩니다.

게임은 또래와 어울리거나 또래 경쟁에서 지위를 차지하는 중요한 수단 일 수 있음을 명심하라고 해요. 부모가 아이를 잘 키우려면 부모만으로 는 되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 주는 실험으로 이해가 됩니다. 부모가 애써도 잘 하지 못하는 일보다 부모가 잘 할수 있는 일에 잡중하자고 저자는 말합니다. 그래야 부모 자녀 사이도 좋아지고 아이도 밖에서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릴 수 있다고 해요. 

출판사의 도서지원으로 작성한 솔직후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