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에서 찾은 환경 이야기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
김보경.지다나 지음, 이진아 그림 / 리틀씨앤톡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에서 찾은 환경이야기

김보경,지다나 글

이지나 그림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환경 문제

동물이 무엇 때문에 생명을 위협받고 있는지, 동물과 사람의 삶을 해치는 환경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또 동물을 살리기 위해서 지금 당장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 인지 함께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책.

<동물에서 찾은 환경이야기>를 아이와 함께 읽어봤어요.

 

 


 

차례

플라스틱 때문에 바다거북이 목숨을 잃는다고?

소가 풀대신 옷을 먹는다고?

내가 먹은 과자가 오랑우탄 집을 없앤다고?

미세먼지 때문에 꿀벌이 길을 잃는다고?

에어컨 때문에 아기 펭귄을 보지 못한다고?

스마트폰이 닭을 병들게 한다고?

 

 

 

 

차례를 쭉 읽으면서 생각지도 못한 말들에 놀랐어요.

이게 다 관련이 있다는거야? 싶었지요.

 

 

플라스틱 때문에 바다거북이 목숨을 잃는다고?

승환이는 아빠와 함께 해변으로 놀러갔어요.

아빠와 예쁜 돌찾기 시합을 하던 승환이는 시원하게 물을 다 마시고 나서 빈 생수병을 버리기 위해 쓰레기통을 찾아다녀요.

하지만 쓰레기통을 찾지 못한 승환이는 쓰레기더미가 모여있는 곳에 슬쩍 생수병을 올려놓았어요.

그 때, 쓰레기 더미 가운데에서 바다거북을 발견해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대원은 승환이에게 바다거북은 플라스틱 때문에 죽었을거라는 이야기를 해줘요.

 

 

 

 

바다거북은 왜 플라스틱을 먹을까?

그동안 여러 전문가는 바다거북이 주로 먹는 해파리나 새우 등이 비닐봉지, 플라스틱과 생김새가 비슷해서 그럴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최근,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밝혀졌어요. 바로 '냄새' 때문이라는 거예요.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에 미생물 등이 달라붙어서 바다 거북이 좋아하는 먹인 냄새를 풍긴다는거죠.

 

 

미세 플라스틱은 사람에게도 위험해!

아무리 크기가 작더라도 미세플라스틱도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녹지도, 썩지도 않으니 해양 생물의 몸에 차곡차곡 쌓여.

이세플라스틱을 먹은 플랑크톤을 새우가 먹고, 그 새우를 또 물고기가 먹지. 그리고 그 물고기가 고스란히 사람의 식탁 위에 오르는 거야.

 

 

 

 

플라스틱 제로를 위한 노력

플라스틱 제로 운동

용기내 챌린지

플로깅과 봉그깅

플라스틱 용기 최소화

 

 

 

플로깅이란?

조깅을 하면서 동시에 쓰레기를 줍는 운동.

봉그깅이란?

플로깅에 제주도 방언인 '봉그다(줍다)'를 붙인 말.

제주도의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겨난 말이예요. 바닷가를 달리거나 프리다이빙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운동인데, 실제로 제주 바다에 뛰어든 청년들이 2년간 치운 쓰레기가 약 15톤이라고 하네요!

 

 

 

 

책에서 소개하는 바다거북을 살리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1.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사용하지 않기

2. 비닐봉지 사용하지 않기

3. 물건을 살 때 포장이 과하지 않은 것 선택하기

4. 새로운 물건을 사기 보다 갖고 있는 물건을 오래 쓰기

 

 

요즘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저도 아이와 함께 일회용품 줄이기, 장바구니 사용하기, 갖고 있는 물건 오래 쓰기 등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지킬 수 있는 일들을 먼저 하기로 약속했어요!

서랍에 넣어두었던 에코백을 꺼내고, 언젠가 사은품으로 받았던 조그맣게 접어지는 장바구니도 꺼내 가방에 늘 넣어다

니기로 했답니다.

저와 함께 이렇게 실천하기 어렵지 않은 일부터 하나씩 실천해봐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