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 사형제도라는 무거운 주제임에도 단숨에 읽혔다.
예전에는 사형제도 폐지에 동의하는 편이었다. 기본적으로 오심 가능성이나 국가가 과연 살인할 권리가 있는가하는 의문도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사법살인이라는 경우도 있었고 사형을 집행하는 집행자들에 대해 생각해 봤을 때도 폐지가 옳은 것이 아닐까 싶었다. 무엇보다는 가해자의 반성없는 죽음은 면죄부같아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책에서도 나온다. 히라이 변호사는 유족에게도 가해자에게도 아무런 변화도 주지 못한 사형은 무력하다고 했다. 과연 그럴까. 아니, 애초에 그저 그 문제로만 한정해서 생각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사형이 거론되는 범죄는 유족들의 여생동안 크나큰 상처를 남기고 사회적 파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경우다. 어른이 되어보니 현실이 피해자들에게 너무나도 가혹하다. 피해사실 외에도 수사를 명목으로, 주변의 수근거림 때문에도 언론 보도로 상처 받는다. 가해자만도 보호를 못 받는 것처럼 보였다. 게다가 가해자가 반성하지 않는 경우. 피해자는 고통스러움을 겪고 남은 가족들의 삶 또한 다시 되돌릴 수 없이 무너졌는데 가해자는 인권보호 받으면서 일정 형을 마치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너무나도 부조리하게 느껴졌다. 심지어 그렇게 형기를 마치고 복수하는 경우도 있고 재범도 높다고 한다니 단순히 이러이러한 이론적인 이유로 무조건 폐지가 옳다고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다양한 입장의 인물들을 등장시켜 독자로하여금 다각도로 사형제도에 대해서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 중 공감하기 힘들었던 인물은 하나에와 아버지...반드시 법적 처벌이 아닌 인생으로 속죄하는 경우는 어떠냐고 묻는 듯했는데 그들은 그저 이기주의자들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내가 사랑하니까 나한테 잘해주니까. 이 사람이 없으면 내 행복이 무너지니까 남이야 어떻든 봐주자는 게 아닌가.
진짜 삶을 통한 속죄는 지은 죄를 솔직히 고백했을 때야 의미가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숨기기로 하고 그런 상태로 죄책감을 지닌 채 살아갔단들 변명으로밖에 안 들린다. 피해자는 그럴 기회조차 없는데.
사형제도뿐 아니라 들쑥날쑥한 양형기준이나 효과낮은 교정 방법 등 제도적으로 보완해야할 부분이 매우 많다.
피해자들에게 위안까지는 못 주더라도 법제도로 인해 더 큰 상처를 남기지 않도록 계속해서 보완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