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언제나 돌아와
아가타 투신스카 지음,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 이지원 옮김 / 사계절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담 전에 그림책으로 아이들과 읽어보기 좋을 듯하네~~ 그림책이기도 하고 부담스럽지 않을거 같다는 생각에 골랐던 이 책

역시 보이는 것만으로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과 책에서 "슬픔이 이렇게 녹여들어간 것은 실화를 담아서 그런 걸까" 하면서 엄마가 보고싶었던 책, 엄마한테 더 잘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든 책이였다.

폴란드의 유대인 작가 아가타 투신스카와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그린 조시아 이야기

게토에서 살아남은 아이, 조시아 이야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이야기로 실제 조시아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 책의 주인공인 조시아는 "야엘 로스너, 조시아 자이칙"이라는 이름으로 살아남기 위한 "조시아"라는 이름을 가지고 살아갔던 이야기를 담았다.

다만 다른 책에서 보이는 전쟁의 참혹함을 그대로 보여주기 보다는 어린아이가 바라보는 세상을 보여주었는데, 세계 대전이라는 말이 앞에 명시되어 있어 더 참혹한 것 같았다. 한창 성장해야하며 세상에 다양한 것들을 구경하고 살아야 할 시기에 전쟁이라는 외부의 사건으로 인해 세상과 단절된 환경에서 살아야 했었던 조시아의 삶과 그런 조시아에게 조금이라도 함께하려고 노력했던 어머니의 이야기가 주가 된다. 어린시절 너무나 불운하고 생존하는 것 조차 어려웠을 때, 엄마가 오기만을 기다리며, 배가 고프면 벽을 뜯어먹었던 이야기는 정말 전쟁이 너무 잔혹한 것이구나 하는 생각만 가득하게 만들었다.

또한, 어머니의 사랑이 담긴 표현과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참 책을 넘기는 게 힘들었다. 좋지 않은 결말로 가는게 보여지기도 하고, 어머니의 사랑이 그냥 슬펐다. 어떻게든 살아가 보려고 했던 어머니와 그 시절이 50년이 지나도 잊지않고 기억하고 있는 주인공의 삶이 슬펐다. 가슴이 아팠다.

‘엄마는 언제나 돌아와’

어머니가 항상 밖으로 나가기 전 조시아에게 했던 말, 그리고 조시아가 어머니가 만든 인형 주지아를 향해 내 뱉었던 자신에게 했던 말이다.

게토의 지하실 방에서 나가지 못하는 밖을 바라보며, 엄마와 함께한 날을 이야기한다.

어머니가 만들어 준 상상의 세계에서 사랑하는 인형과 보냈던 일상,

먹을거리와 흥미로운 물건을 가져다주었던 엄마,

한 번 나가면 며칠 뒤에 왔던 엄마를 기다렸던 조지아

어머니가 가져온 마로니에 열매, 엄마가 그려 준 석탄 그림들은 여전히 주시아 기억 속에 들어있다.

어머니의 진정한 사랑 속에서, 조시아는 전쟁에서 살아남았다.

살아남았다.

살...아 남았다...

이처럼 슬픈 말이 또 있을까...

어머니의 죽음 그리고 살아있는 나의 존재, 어린시절에 겪어야 했었던 어머니가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왔던 삶이 너무 가슴에 사무쳤다.

엄마가 겁을 내는 것을 본 적은 없다. 나는 엄마가 없어져 버릴까봐 걱정했다. 엄마는 언제나 내가 할 일이 있도록 여러 가지를 남겨두었다. 글을 읽는 것도 가르쳐주었다. 엄마는 계산도 가르쳐 주었다. 쓰기와 읽기. 나는 그 마룻바다을 걸어다니며 엄마가 써준 것을 모두 읽었다

조시아가 나중에 혼자 살아갈 수 있도록

안내했을 어머니의 마음.

살아남기 위한 어머니의 처절했지만 자식에게는 그러한 모습을 보이고 싶지 않았던 모습.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조시아

위험한 바깥 세상에서 안전하길 바랬던 엄마의 선택,

그런 엄마와 함께 하고 싶었던 어린이 조시아

전쟁의 참혹함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 듯해 보이지만 은연중에 나타나는 불안감과 불편감.

그 모든 것이 이 책에 담겨있었다.

엄마는 세상이 어떻게 생겼는지 나에게 설명해 주고 싶어 했다. 한번은 나에게 가을 나무잎을 가져와서 "이것 좀 봐 조시엔카 빨갛고 노랗지? 왜그런지 아니? 밖은 아주 추워 나뭇잎들은 이런색깔이 되고 그 다음엔 바람이 오지", 엄마는 가볍게 훅 하고 숨을 불더니 바람은 이렇게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 지하실에서 나는 상상했다. 세상은 이렇구나. 가끔은 유리창 너머로 비가 오는 것을 구경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에서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지금은 노인이 된 조시아

지금은 유대인으로, 고국에서 보낸 어린 시절을 잊지 않고 기억한다.

수십 년이 지나서야 그 때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었다. 이 작품은 두 폴란드 작가가 완성한 조시아의 회고록이다.

그래서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