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트렌드 2022 : Better Normal Life
김용섭 지음 / 부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ife trend2022" 라이프 트렌드

최근엔 일상에서도 다양한 용어들을 많이 접하게 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뒤쳐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하곤 했다!

그래서 요 책을 읽으면 내가 알지 못했던 트렌드를 좀 찾아볼 수도 있고, 세상을 좀 더 넓게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

트렌드 읽어주는 남자 김용섭 - 사실 나는 트렌드 분석가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이 분의 책을 읽으면서 라이프 트렌드의 책이 2022만 있는 것은 아니구나. 시리즈처럼 나오는 구나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대기업 그룹사에서의 비지니스 워크샵을 많이 나가셨다는 글을 통해서는 신빙성을 좀 얻은 감이 있었다

사실 이 책은 나에게 있엉 쉬운 책은 아니였다. 전혀 모르는 부분들이 많았고, 알고 있지만 깊게 생각하지 않았던 부분들을 조금씩 "툭"하고 "알아봐 이젠"이런 느낌을 받았다.

책에서의 재미있는 점은 책의 시작에 2022년을 위한 질문과 문제의식을 준다. 질문은 곧 문제의식을 생각하게 만들고, 거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너의 생각은 어때?"로 내가 생각을 하게끔 만든다. 2022년도가 위기의 해임을 그리고 본격적인 위기가 시작되는 시기라고 이야기하면서 트렌드를 살펴라! 트렌드가 너에게 어떤 영향, 어떤 기회로 다가갈 건지, 너는 여기에 어떻게 대응할 건지를 끊임없이 물어보는 느낌을 받았다

라이프 트렌드는 키워드 맵을 통해 2022년의 키워드를 보여주었다. 정말 모르는 단어들의 연결이였다. 목차를 봤을 때도 아... 정말... 읽어낼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더 많았던 건 사실이다. 내가 보는 사회보다 더 많고 넓은 어느 곳에 내가 떨어져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느낌을 받곤 했다.

그래도 조금 나은 점이 있다면 조금의 말귀를 알아들을 수 있다, 어느 정도 들어본 경험이 있는 이야기들이라 다행이라는 생각을 하고 책을 읽곤 했다


<유희가 된 가드닝과 반려식물>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집안에서 이뤄지는 홈 가드닝이 아주 많이 일어나고 있다. 어디서나 아주 작은 공간만 있다면 가드닝을 시작하고 있다. 예전에 유행을 했을 때, 식물을 조금씩 키우기 시작했었던 나는 식물파티가 되어가고 있는 걸 얼마전부터 느끼기 시작했다. 주변에 다양한 사람들이 식물을 사기 시작했고, 다이소에서 다양한 다육이식물을 팔 때, 이젠 사람들이 식물을 많이 키우는 구나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홈가드닝이라고 해서 채소와 야채를 심고 키우는 것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가드닝은 가드닝자체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 스트레스 해소 등의 요인들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아가고 있는 것 같다. 예전에 보이지 않았던 백화점이나 마트, 꽃집에서 식물을 파는 것이 너무나도 많이 생겼고, 주변의 사람들 중에서도 식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은 몇명 되지 않을 정도로 흔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반려식물과 가드닝은 없어서는 안될 트렌드가 되어버렸다.

<올라운드 비거니즘>

"비건" 너무나도 많이 듣고 있는데, 비건은 식습관 뿐만아니라, 의식 전반에서도 삶의 태도에도 포함되어 있다. 동물착취반대, 채식, 다양한 생태계 파괴, 환경문제, 인권과 차별 문제 등도 올라운드 비거니즘이라고 한다. 비거니즘은 특히 2030세대에서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소비 부분에서 많은 영향력을 보여주기도 하고 파괴력 또한 엄청나다고 본다. 책을 읽으면서 놀라웠던 점은 인류는 가죽을 얻기 위해 매년 10억 마리 이상의 동물을 죽였다고 한다. 전 세계 가죽 산업은 1000억 달러의 규모에 달한다고 한다. 너무나도 놀랍고, 소름돋았다. 늘 환경을 아끼자, 동물보호하자 라고 하고 있지만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산업이란 말은 너무나도 앞뒤가 맞지 않았다. "위장친환경주의"도 재미있는 부분이였다. 워낙 사람들이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어 친환경인 척 하는 보여주기 식의 위장 친환경주의 기업도 많이 늘어나고 있어 주의해야하는 부분이 많다는 거, 그치만 또 그걸 빠르게 정리해주는 사람들이 존재해서 또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 좋은 것 같다

<럭셔리의 새로운 조건, 리페어>

되게 짧았던 부분인데, 매년 버려지는 옷은 330억 벌 정도라고 한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지구 전체 인구가 80억명이 되지 않는데, 인당 새 옷을 13벌, 버리는 옷이 4벌 정도라고 볼 수 있다. 근데 더 생각해보면 내가 1년에 사는 옷이 13벌 정도 되는지 생각해봤는데 훨씬 많은 것 ㅏ았다. 실제로 40%는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가 된다고 하는데 나만 봐도 그런 경향이 있는 것 같았다. 실제로 옷은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헛 옷을 먹은 소고기,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된 것들, 다양한 수질오염과 탄소배출 등을 생각하면 옷도 있다고 막 사는 걸 생각해봐야겠다고 느꼈다. 리페어와 리필이 없다면 정말 엄청난 쓰레기들 사이에서 살아가게 되는 거라고 생각이 들었다. 빠르고 민감하게 변화하고 있는 유행을 따라가려는 행동들이 환경을 엄청나게 파괴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반성했다. (중고물품을 사용하지 않는 나에겐 더욱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 당근마켓, 번개마켓, 중고나라 등 다양한 플랫폼들이 등장했지만 지금처럼 활발히 사용된지는 얼마되지 않은 것 같다. 어쩌면 너무 의도하지 않게 생각하곤 있지만 빠른 기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또 아래세대를 위한 생각을 이제부터라도 해야한다는 생각들이 만들어낸 것은 아닐까 싶다 또한 펜데믹으로 인한 취미활동과 식물 키우기 등의 다양한 형태를 잠시나마 접근하기엔 플랫폼 처럼 좋은 것은 또 없을 거란 생각이 든다.

<클러터코어와 맥시멀리스트>

미니멀 라이프가 트렌드가 되고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미니멀라이프에 빠져있을 때 나는 맥시멀리스트로서 많은 것들을 다 가지는 욕심쟁이, 일단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은 사람으로만 비춰졌었다. 물론 아니라고는 말하지 못하겠지만 어줍잖은 변명들을 해가며 미니멀라이프를 도전했었다. 물론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정말 필요하지 않았던 조금의 물건들을 처분했다. 그러나 다시금 다른 물건들을 샀고 미니멀은 커녕 미니멀하게 처리하고 맥시멈하게 들고 오는 꼴이 되어버렸다. 특히 물건을 쉽사리 버리지 못한 나에게 클리터코어와 맥시멀리스트의 글은 그래도 정리는 좀 해야하는 구나라는 기분을 느끼게 만들었다.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맥시멀리스트로 다양한 물건들을 자랑하게 되고, 사게 되는 상황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이 것을 보고 맞아 사람들이 어디 나가질 못하니깐 집에 계속 무엇인가를 사고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취미용품들을 사게 되는 것 같다라며, 내 자신을 둘러 생각해봤다. 잡동사니가 어때서라는 글이였지만 물건을 정리하고 줄이는 과정 자체가 내 인생과 일상도, 나의 삶도 개선될 수 있을 거란 생각과 적당히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는 것도 괜찮지 않은가? 내 스스로가 만족하고 불편감이 주지 않는다면 그 자체 일상이자 새로운 라이프가 아닌가 싶다.

<강력한 욕망이 된 셀프행복>

이 부분은 너무 가까운 현실로 바라볼 수 있어서 좋았다. MBTI에 미친 한국인... 주변만 봐도 mbti에 진심인 친구들이 많다. 그걸로 어떤지 어떻게 바라보는 사람인지를 생각하고 판단한다. 대체로 빠른 검사와 빠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다양한 테스트들을 많이 하고 있다. 상대나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고 간단하게 빨리 답을 내리려는 것, 실패를 점점 두려워하는 것, 시도 자체가 부담이 되는 것, 시행착오를 통해 일어나는 일들을 견딜수 있는 힘 등이 부족해지고 있는 것, 우리 사회는 지금 이러한 시대에 도달했다. 앞으론 더 많은 이러한 테스트 들이 등장할 것이며, 사람들은 빨리 해결하고 답을 알고자 하니,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도 어려움이 계속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믿을 만한사람은 자기 자신 뿐이며, 불확실한 현실을 견디고 이겨내는 것도 자신밖에 없기에 더욱더 여러가지에 의존하고 다시 바라보는 등의 행동을 계속해서 하는 것 같다. 그래서 열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러한 열풍에서 우린 주목해야하는 것은 자신의 행복, 그리고 그 행복을 위한 생각과 행동에 집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우린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정서적 건강 등을 생각해나가야 하는 시기가 지금이기에, 자신의 행복을 위한 것이 무엇인지, 나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은 시간과 노력, 관심이 필요한 것을 알고 간단한 테스트에 맹신하지 않았으면 한다.

내가 기억하는 부분, 조금 더 생각하고 싶은 부분들에 대해서 적었다.


시대에 뒤쳐진 것만 같을 때, 트렌드를 따라가고 싶을 때,

우리나라가 주목해야하는 것, 내가 신경써야하는 것은 무엇이 있늕?

우린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면 좋을 지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책!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지극히 개인적인 후기가 담겨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