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 과학수사와 법의학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이수광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조선시대의 살인사건을 과학수사와 법의학으로 풀어냈다고 소개하는 이 책은 소개와는 다른 이야기에 조금은 실망스러웠다. 물론 그 당시에 지금과 같은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사할수는 없었기 때문에 과학수사를 많이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너무나 미미한 과학 수사 소개에 웬지 속았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학수사와 살인 이라는 말에서 느껴지는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는 못했다는 말이다.
 
하지만 책에서 소개하는 과학수사와 법의학은 [무원록]에 의거한 수사였고 지금 봐도 흥미로운 방법들이 눈에 띈다. 처음엔 육안으로 시체를 보고 상태를 기록하고 [무원록]에 의거해 시체의 상태를 살피고 두번,세번 조사를 해서 억울한 희생자가 없도록 하는 수사 방법은 그 당시로서는 최선의 방법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몇몇 방법은 무척이나 흥미로운데 익사한 시체의 두개골을 취하여 정수리에 따뜻한 물을 가늘게 부어 콧구멍에서 고운 진흙과 모래가 나오면 그 시체는 살아있을때 강물에 던져져 익사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종이로 시체를 덮고 술지게미를 바른 뒤에 초주를 뿌려 한참 후 그것을 걷어내고 살피면 드러나지 않은 상처까지 드러난다고 한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서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데 이런것들이 바로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였던것 같다.
 
하지만 이런 몇몇 과학적인 방법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증인들을 심문해서 자백을 받아내는 방법을 취했다. 아무래도 시체가 심하게 부패돼 있으면 수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고 모든 살인사건을 해결하기에는 다양한 수사방법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겠다. 그래서 증인들을 고문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는데 때로는 과도한 고문으로 거짓 자백을 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게다가 조선시대는 양반과 노비의 신분차가 엄격하고 남자와 여자의 지위도 달랐기 때문에 그로인해 억울한 일도 많았다. 이 책을 통해 CSI같은 통쾌한 사건해결을 기대했었는데 억울한 사건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읽으면 읽을수록 한숨만 나왔다. 양반이라는 이유로 노비를 죽여도 가벼운 처벌을 받거나 임금의 아들이 살인 용의자가 확실함에도 오히려 임금은 피해자의 아들을 유배보내고 수사를 한 포도대장이 귀양을 가는 등 통탄할 일들이 많았다.
 
또 그 당시 노비는 동물보다 더 낮은 대우를 받았기 때문에 주인에게 맞거나 고문을 당해도 달리 호소할 길이 없었다는 것은 너무도 가슴아픈 일이었다. 게다가 그들의 억울한 피해는 고스란히 노비 자신의 몫으로 돌아가고 양반은 전혀 늬우치지도 않고 엄한 벌도 받지 않았다. 노비는 주인의 재산이기 때문이다. 충분한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살인자가 지배층이라는 이유만으로 처벌하지 못하는 사건들을 보면서 너무도 답답하고 가슴이 아팠다.
 
과학수사와 법의학으로 해결된 16가지 살인사건들을 소개할줄 알았던 이 책은 오히려 엽기적인 살인사건을 통해 그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는데 더 많은 중점을 둔것 같다. 음란하다는 소문때문에 친족에 의해 살해된 과부 구소사의 모습에서 그 당시 여성들의 지위를 알수 있었고, 양반의 사채를 통해 피해를 당하고 억울하게 살해당하는 농민들의 모습에서 타락한 그 시대를 알수 있었고, 노비들을 희롱하고 고문하고 죽였는데도 불구하고 가벼운 처벌을 받는 양반들의 모습에서 엄격한 계급차이를 엿볼수 있었다. 통쾌함을 기대했는데 조선시대의 안타까운 시대상을 적나라하게 알아버려 가슴이 답답해져옴을 느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네킹 2006-10-08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대의 시각으로 그 때를 보는 것은 무리가 있고 그래도 이만큼 표현해 낸것에 박수를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