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무도 - 왜 우리는 호러 문화에 열광하는가
스티븐 킹 지음, 조재형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김연아 선수의 환상적인 쇼트 프로그램의 제목과 같은 죽음의 무도는 스티븐 킹의 논픽션 글이 실린 책이다. 공포문학에서의 그의 입지는 대단한데 나 또한 그의 열렬한 팬이다. 더구나 평소 공포 문화에 관심이 많고 즐기는 편이라 스티븐 킹의 이야기가 궁금했고, 내가 읽은 작품을 그가 어떻게 평가하는지 기대가 됐다. 그리고 공포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의 심리를 다루었기 때문에 흥미가 일었다.  

공포영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왜 우리는 그것에 열광하는걸까? 좀 더 자극적이고 피 튀기는 것에 잔인함을 느끼면서도, 음향 효과 때문에 기분 나쁜 공포를 느끼면서도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정말 조잡한 영화에서부터 잘 만들어진 공포 영화 등 호러 문화는 진화를 거듭해가고 있고 사람들은 계속 찾고 있다. 여동생은 공포 영화를 볼때 손을 귀로 막으면서도 굳이 공포 영화를 보러 극장을 찾는데, 그럴거면 보지 말라고 해도 막무가내이다. 공포영화에선 소리가 중요한데 그걸 듣지 않는게 이해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좋아하니 이해가 안되면서도 웃음이 난다. 불편함을 주는 공포영화가 그렇게나 좋은가보다.  

스티븐 킹의 소설은 인간의 심리를 잘 포착해 피가 난무하는 이야기가 아니라도 독자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만들고 심장을 뛰게 한다. 공포영화를 보더라도 아무 이유없이 공포를 조성하는 것 보다는, 영리하게 인간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영화를 선호하는 편이다. 스티븐 킹은 현대적인 공포의 원형은 세가지인데 모두 영국 소설들의 주인공들로 드라큘라, 프랑케슈타인(이름없는 괴물),지킬/하이드 라고 말한다. 이중에서 뱀파이어는 최근에 다양한 모습으로 영화로 제작돼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된 작품들이 미국 문화에 살지 않는 나에겐 생소한 것들이 대부분이라 그저 상상만 하면서 읽은게 아쉽긴 했다. 그래도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읽으면서 내 삶에서 기억나는 공포영화들을 떠올려 보기도 했다. 어린 시절 본 TV공포물은 얼마나 무서웠던가. 부모님이 보지 말라고 해도 기어코 졸라 봤다가 화장실을 가는게 무서워 전전긍긍하던 기억은 지금 생각하면 아련한 추억이 된다. 지금은 더 쎈 공포 영화를 찾고, 어설픈 영화엔 가혹한 평가를 내리며 보니 말이다. 어쨌건 공포를 두려워하면서도 즐기는건 인간의 독특한 성향인것 같다. 그 성향이 계속되는한 우리는 계속 공포 문학을 찾고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