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에세이
장영희 지음, 정일 그림 / 샘터사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나 밝은 미소를 띄우며 희망을 이야기하고 치열한 삶을 살아가던 아름다운 사람 장영희. 그런 선생님의 갑작스러운 부고를 TV뉴스를 통해 알게 된 날, 안타까움과 슬픔때문에 한동안 멍하니 앉아있어야만 했다. 선생님의 말대로 나쁜 운명을 깨우지 않기위해 살금살금 걷지않고 쿵쾅쿵쾅 저벅저벅 당당한 발걸음으로 살아와서일까? 소아마비라는 장애뿐 아니라, 암은 그녀에게 끊임없는 투병과의 싸움을 계속하게 만들었고 결국 그녀를 하나님의 곁으로 데려가버렸다. 야속하게도 말이다.

하지만 선생님이 '암환자 장영희'로 비쳐지기를 싫어했듯이 나 또한 선생님을 장애를 가지고 평생을 살아오고 암과 싸워온 교수로 생각하지 않으련다. 그리고 더이상 슬퍼하지 않을것이다. 짧디 짧은 인간의 삶이지만 그래도 이 지구에 왔다간 흔적을 남기고, 누군가에게 좋은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원했던 선생님의 바람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가족,지인,친구들 뿐 아니라 수많은 독자들이 그녀를 여전히 그리워하고 기억하고 있으니 말이다. 아마 몇십년이 흘러도 그녀의 글과 메시지는 잊혀지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독자들과 만나게 될 것이다. 

내가 장영희 선생님을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소위 지식인들이 으레 내보이는 권위의식이 없고 소탈하고 인간적이라는데 있었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녀만큼 허레의식과 체면치레가 없고 자신의 모든것을 내보이며 글을쓰는 사람도 드물었다. 특히 모르는 사람들에게 나의 단점을 밝힌다는건 분명 쉬운일이 아니다. 내가 만약 그녀라면, 그러니까 유명하고 실력있는 영문학 교수에 수필가에 다양한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나 자신을 좀 더 완벽하게 포장했을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게으름과 건망증, 무위의 재능(아무것도 하지 않을수 있는 능력이 넘친다는 뜻)을 거리낌없이 글의 소재로 삼았다 또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자신이 너무 게으르고 이기적이어서 라고 말한다. 그뿐인가. 자신의 마음속에는 가끔씩 평화를 싫어하고 오히려 분란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도깨비가 살고있다고 밝힌다. (내게도 이런 도깨비들이 살고있고 불쑥불쑥 튀어나올때가 있다) 이처럼 선생님의 글을 읽지 않았다면 절대 몰랐을 성격들이 너무도 친근하게 다가왔다. '아! 선생님도 나와 다르지 않구나. 나처럼 한없이 게으르기도 하고 약속시간에 늦기도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암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았을때의 경험과 느낌을 소상히 적은 대목에선 울컥 눈물이 났다. 선생님은 그때를 '내 자유의지와 노력만으로 이길수 없는 싸움을 해야 하는 사실이 불공평하게 느껴졌고, 오로지 건강하다는 이유로 나에게 우월감을 느낄 사람들이 미웠고, 동정이 대상이 된다는 사실이 자존심 상했다' 라고 고백한다. 이 이유들이 가슴속에 콱 박혔고 그 심정이 이해가 됐다. 아마 나라도 그렇게 했을것이다. 사람들의 계속 되는 위로와 안타까운 표정은 투병 생활을 더 힘들게 만들었을테고,무엇보다 선생님의 말대로 자존심이 상했을테니까. 왜 하필 내가? 라는 의문도 계속 들었을테고 말이다.

그런 힘든 상황을 겪어온 그녀였기에 삶에 대한 애착과 희망을 더 노래했는지도 모른다.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게, 찬란하게 피어있는 세상의 아름다움을 본다는게,사랑하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살을 부빌수 있다는게,맛있는 음식을 양껏 먹고 내 일을 할수있다는게 얼마나 축복된 일이고 감사해야할 삶인지를 누구보다도 잘 알았으니까. 그래서 '최선을 다해 성실하게 살면 헛되지 않으리라는 믿음을 갖고 늘 반반의 가능성으로 다가오는 오늘이라는 시간을 열심히 살아간다'고 말한 것이리라.

'사랑하는 사람과 죽음으로 이별할때 그 아픔은 표현할 길이 없지만, 한가지 위안이 있다면 어쩌면 그 이별이 영원한 이별이 아니고 언젠가 좀 더 좋은 세상에서 다시 만나게 되리라는 기대입니다'라고 했던 선생님의 말을 믿는다. 그리고 선생님이 남기신 모든 글이 세상을 좀 더 따뜻하고 살만하게 만들거라는것도 믿는다. 인간의 '선함'을 믿었고 그 본성이 세상을 살만하게 유지시켜준다고 준다고 했던 선생님의 글을 읽으면서 나 또한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해주고 싶다.  

살면서 나쁜 운명이 나를 덮치겠지만 그래도 참고 견디고 이겨내다보면 언젠가는 좋은 운명이 오리라는것도 이젠 안다. 아니,잘은 모르더라도 그렇게 믿고 이 한 세상을 살아야겠단 결심이 생긴다. 장영희 선생님이 살아온 날도 기적이고,살아갈 날도 기적이라고 믿었던 것 처런 나도 그렇게 믿고 살련다. 이렇게 아침 햇살을 맞으며 깨어나고 사랑하는 이 들과 웃으며 삶을 즐길수 있다는게 얼마나 큰 기적인지를 너무도 잘 알게됐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