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삶을 위한 선택의 길
버논 하워드 지음, 도솔 옮김 / 자유로운상상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의 삶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사람들은 더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꿈꾸지만 그것을 이루는건 너무도 어려워 보인다. 그래서 즉각적인 만족을 얻을수 있는 지위,돈,섹스,친구들에게서 자신의 행복을 찾으려고 한다. 하지만 그런 것들이(우리가 행복이라고 믿지만 실은 그렇지 않은 것들) 그리 오래가지 않고 더 큰 공허감을 남긴다는걸 세상을 살면서 서서히 깨닫게 된다. 자신의 내면이 아닌 외부에서 행복을 찾으려고 한다면 아마 진정한 행복을 영영 찾을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지속적인 행복을 찾길 바란다면 자신의 깊은 내면을 먼저 들여다보라고 충고한다. 예를 들어 삶의 즐거움을 친구나 인간관계에서 찾으려는 사람이 있다고 치자. 그런 사람은 친구가 배신하거나 자신을 떠나갈때 큰 고통과 실망감을 느낀다. 그리고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집에 홀로 들어가는 순간 외로움을 느낀다. 친구에 의해 자신의 행복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또 돈에서 찾는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만약 갑자기 경제사정이 나빠져서 돈이 없어진다면 그는 삶에 대한 회의와 자괴감에 빠질지도 모른다.

이는 자신을 파멸로 이끌고 항상 후회하는 삶을 반복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온 신경을 결과에 집착하고 잘못된 곳에서 행복을 찾는다면 점차 지쳐가게 될 것이다. 또 잘못된 상황이 벌어졌을때 자신을 책망하거나 탓한다면 상황은 더 나빠지게 된다. 일에 실패했을때 "난 왜 이렇게 바보같고 한심할까" 라고 생각한다면 점점 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처럼 말이다. 이처럼 부정적인 감정들은 자신을 더 고통스럽게 만들고 파괴시킨다. 이럴땐 감정과 자신을 동일시 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거짓된 자아를 믿음으로써 그것을 사실인 것처럼 행동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나는 슬퍼" 를 "그것은 슬퍼. 그것은 우울해" 등으로 바꾸면서 거짓된 자아를 서서히 분리해내야 한다. 그러면 당신은 한발짝 뒤로 물러서서 자신의 감정을 바라보게 되는것이다. 이것은 결코 자신의 부정성을 회피하는게 아니라 자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고 불행한 감정에서 영원히 벗어나게 해주는 기술인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의 참된 자아와 만날수 있는 기쁨을 누리게 된다.

하지만 이 길은 쉽지가 않다. 사람들은 모두 최면에 걸려있고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 누군가가 자극을 주고 깨어나게 해 주어야만 그때서야 잘못을 고치고 새로운 삶을 준비할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이 우리의 최면을 깨우게 해준다. 거짓된 쾌락을 버리고 자기 성찰을 통해 한단계 위로 전진하고 어두웠던 눈을 뜨게 해주는 것이다. 보고 있는것에 어떤 판단도 하지 않고 외부,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일을 조용히 관찰하는 자기 성찰을 통해서 우리는 버논 하워드가 제시하는 "또 다른 삶을 위한 선택의 길"로 갈수 있을 것이다.

꽤 어려웠던 책임에도 불구하고 한 문장 한 문장 꼼꼼히 읽게되는건 이 안에 진리로 가는 길이 있기 때문이다. 똑같은 상황이 벌어져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마음가짐이 틀려지고, 분노보다는 기쁨이, 후회보다는 만족이 생긴다는걸 이 책을 읽고 진심으로 깨닫게 됐다. 자기성찰 이라는 방법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삶을 위한 등반을 하게 되고 언젠가는 몇몇 사람들만이 올랐다는 정상에 도착할수 있을것이다. 아니, 정상이 아니더라도 지금보다는 높은 곳에 올라갈수 있을 것이다. 그럴수 있음을 난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