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웨이 - 이기는 리더가 되는 17가지 액션
송영수 지음 / 크레듀(credu)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사회생활 좀 했다 싶으면 격한 피로감이 한순간 몰려올때가 있다.쉽게 말해 때려 치우고 싶을때말이다.어느 누구에게나 고민을 말못하는 사춘기때의 모습처럼~남이 볼때는 별것 아니지만 나에게는 미래가 걸린 그런 문제들 말이다.어딜가나 리더가 되기위한 방법을 강의를 하고있다.부쩍 많아진 느낌이다.리더십전문가란 말도 처음엔 생소했지만 지금은 뼈저리게 전문가의 충고가 귀에 쏙쏙 들어온다.직접 내가 겪는 일들을 예를 들어가며 말해주고 그런 자료들을 읽어가다보면 난 참 평범한 사람이고 상사들은 못된 사람들이었다.인복도 없어서 여태 책에 소개된 완벽한 리더를 본~적이 없다.나라도 후임-후배들을 따뜻하게 대하고 힘들때 안아줄수 있는 그런 長이고 싶다.슬럼프란 뭘까? 돈이 부족하다거나 내 능력이 모자라거나 동료들과의 원만하게 갈등을 해결하지 못할때마다 오는 짜증과 화가 뭉쳐서 생기는 직장병같다.나에게 불충한 리더인 자에게 이 책을 선물하고 싶다.조금이라도 변화가 있길 바라면서~일이라는건 마음이 오고가는 중심이다.사람 혼자하는 일은 없다.먹고 살려면 누군가와 맞닿아야 한다.말과 행동이 거슬리면 당장 찍히고 왕따가 된다.성격에 따라 천차만별인게 사람이다.바꾸기란 정말정말 어렵다.그래서 가식이란 적절하게 사용하면 관계속에서 그나마 좋게 살아남을수가 있다.수년-수십년 동안 한 직장에서 일을 하고 인정을 받을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잘 알려주는 책이 "리더웨이"이다.뿌리채 완전히 바꿔야 한다는게 내 생각인데 이건 몹시도 힘들것 같고 하나씩 실천해가며 주변분들의 반응을 살펴가며 재미를 느껴보자~얼마 있으면 우리나라의 리더를 뽑는다.아주아주 중요한데 읽다보니 괜히 걱정이 된다.가정의 리더,직장의 리더-이 사회 전체의 리더가 잘 돌아가야 올겨울 내가 따뜻해질텐데...나의 성향은 일인자가 되기 보다는 이인자의 위치에서 일인자를 보좌하며 감시하는 것이다.언제든 치고 올라갈수 있을 만큼의 능력을 보여주며 공생한다.전체의 리더는 일인자이지만 그 일인자를 조종할수 있는 것은 이인자인 나인 것이지ㅎㅎ얍쌉해 보이지만 안전성 만큼은 최고 아닌가? 비위를 맞춰가며 직장에서 적응하고 살아남고 인정 받는다는게 보통일이 아니란걸 모든 샐러리맨들은 알것이다.공익제보자들이 왜 도드라져 보이는지 알것 같았다.돈을 위해 눈감아 주고 잘 참아왔던게 한순간 무너져버린건데 그게 무얼까? 나를 발전 시키기 위해 하고 있는 것들을 체크해보니 얼추 반이상은 됐다.이 정도면 좋은 징조 이겠지?ㅎ 하루아침에 실천할수 없는 일이기에 나름 뿌듯했다.내가 좋아하는 일을하고 ,의논할수 있고 의지할수 스승과 멘토가 있고 끈임없이 책을 읽고,가장 원하는 소망을 이루기 위해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나^^ 리더는 혼자 되는게 아니다 수많은 사람속에서 유독 따르는 자가 많은 자.자신이 리더라고 떠벌리고 다니는 촐싹바가지는 리더가 아니다.낭중지추...나도 모르게 자연스레 어떤자의 내공에 빨려들어가는 그런 느낌.동네이장처럼 인맥관리가 리더의 장수를 보장한다.경청과 칭찬,배려는 필수의 덕목이니 진정성이 없는 대충 뜨내기 만남을 지속하는건 시간낭비다.방안에서 수많은 책들을 읽고 그러면 뭐하나 남 앞에서 대화를 이끌어거지 못하고 뒷담화만 줄창 듣고 욕만 먹고 다닌다면.내가 겪은 리더란 자들은 직함만 리더?이지 사실은 성실하고 능력있는 일반사원보다 못하는 것을 종종 봐왔다.어쩜 말을..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절로 욕이 나와버리게 만드는 싹퉁바가지를 여러개 차고 있었다.사회 지도층 인사나 ,00장이란 자들이 그러면 난 뭐랄까 실망감과 함께 이 사회의 미래가 걱정이 됐다.돈이 많고 비싼 양복과 검은 대형세단이 리더의 덕목으로 알고 있는 자들이 많다는 것이다.그런 사람들은 이상하게 꼭 거만하고 자만하더란 것이다.겉치레는 한순간 없어지지만 德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마음에 남는다는 것을 왜 모르시는 걸까?그리고 평소에 동료-부하직원들에게 잘하지 못하다가(갈등만 조성) 이직을 한다고 하며 술과 식사로 회유하려는 구시대적인 발상을 하는 자들을 어떻게 봐야할까? 철면피중에 악종인것 같다.어쩜 그리도 뻔뻔한지...이런 자를 따르고 비전을 구상한다는 불가능하다.직장 생활을 하다가 창업하시는 분들이 왜 그리 많아지는지 잘 알것 같다.진덜머리나게 고생만 하다 짤린게 아니고 자신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꿈을 이루기 위해서 하는 것이니 이젠 한심하게 보지 않는다.누구나 좋은 리더가 될수 있는데 스스로 자포자기하지 말자.내가 경험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후배들에게 적용하면서 하나의 그룹을 잘 이끌어 갈날이 기다려진다.지금은 잘 할수 있을것 같은데.ㅎ 해봐야 알지..ㅋ 지금의 시련?을 앞날의 예습이라고 생각하고 지켜보련다.리더십의 기본은 말과 행동의 진실함과 예의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