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영어두뇌 - 국내 유일 영어두뇌 전문가가 밝히는 영어의 해법
박순 지음 / 엘도라도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거의 모든 부모들은 아이가 영어를 잘하길 바랄 것이다. 나 역시 그렇다. 매우 그렇다.

내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부터 영어태교음악을 들려주었으며, 21개월부터 영어 홈스쿨 선생님이 집으로 오셨다.

먼가 내가 꼼지락 거리며 아이를 붙들고 함께 영어를 해주면 좋겠지만 나 또한 영어가 부족하다. 그래서 더더욱 아이가 영어를 잘 해주었으면 하는 것같은 마음에 전문가인 선생님이 낫겠다 싶었다.

이 책은 영어를 배우는 두뇌가 따로 있다는걸 얘기하는 것 같다. 한국에 태어난 아이가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배우고 모국어로 쓰듯이, 영어가 모국어는 아니지만 영어 두뇌를 발달시켜 모국어처럼 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

아이들이 스트레스 받지 않고 쉽고 효과적으로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영어두뇌를 만들자는 것인데, 이것의 첫 번째는 무릎 영어다.

부모의 무릎에 앉아서 책을 꾸준히 소리내어 읽어주라는 것.

우리말을 듣는 것부터 익히고 읽고 쓰는 순서로 익히듯이 영어도 많이 들어야 익힐 수 있다.

뱃속에서부터 영어가 모국어인 듯, 익숙하게... 그리고 태어나서도 익숙하게 읽고 또 읽어주고, 영어로 된 동요나 음악도 많이 틀어주며 익숙하게 만들라는 것.

아이에게 DVD를 틀어줄때도 아이만 DVD를 시청하게 하고 엄마는 부엌일을 하는 것은 안된다. 아이와 함께 DVD를 보면서 익혀나가야한다. 일방적인 것은 교육이 될 수 없다. DVD가 혼자 돌아가면서 아이의 교육이 될 수 없다. 부모가 옆에서 지도하며 함께 시청할 것을 권한다.

언어습득시기를 언급해보자면, 첫 번째 모국어 습득 타이밍이 가장 중요한 언어적 변수다, 두 번째 모국어를 일찍 습득한 사람은 외국어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배운다. 세 번째 탄탄한 모국어 실력이야 말로 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된다. 네 번째 언어 습득 시기는 모국어에 대해서만 결정적인 변수이자 외국에 대해서는 그렇지않다.

한마디로 모국어 실력만 제대로 갖추고 있고, 시간만 충분하면 영어를 잘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

이 책은 두뇌가 영어를 학습할 때 어떤 원리가 작용하는지 살피고 영어에 특화된 두뇌를 만들어주는 모든 방법을 담고 있다.

SAR학습법은 소리가 먼저, 그다음은 소리내어 읽기(부모가 읽기, 아이가 읽기), 많이 읽기, 이 세가지 순서이다.

다른 아이들의 영어학습 방법을 자녀에게 무작정 적용하려다가 오히려 역효과를 봤던 부모들에게 영어학습 원리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일단 한번 영어두뇌로 바꿔주면 아이가 영어를 편안하고 재미있게 받아들여 아이 스스로 영어를 공부하게 될것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나는 일단 이 책에서 말하는 두뇌에 대한 내용은 너무 어렵고 복잡하여 포인트만 잡았다.

자전거 교육, 앞에서 아이를 끌고 가려하지 않고 우리가 자전거 타는 것을 배울 때처럼 뒤에서 아이를 잡아주듯 뒤에서 아이를 천천히 잡아주는 방법을 택할 것이다.

그리고 7세 이전의 결정적 시기때까지 아이를 무릎에 앉혀 많은 영어책을 읽어주기로 맘 먹었다.

지금도 함께 영어대화를 많이 시도한다. 책도 읽어주고, 행여나 잘못된 발음으로 읽어줄까바 사운드펜을 찍어가며 읽어 주고 흥미를 준다.

꾸준히 책을 읽어주고 괜찮은 DVD를 함께 보면서 익혀나가고자 한다.

지금 내 아이는 한참 우리글을 배우고 있다. 자음과 모음의 조화와 받침 등 외우는 형식이 아닌, 파닉스 형식으로 공부해가고 있어서 나중에 영어를 배울 때 도움이 될듯하다.

그래서 지금은 통글자를 암기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은 것을 참 잘했다 싶다.

자음과 모음의 조화를 알아둬서 띄엄띄엄이라도 읽어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말 모국어를 잘 배워둬야 한다는걸 새삼 느끼고 있다. 언어는 다 일맥상통하니...

소리내어 계속 읽어주는 것 다음은 아이가 문자를 읽으면서 바로 뜻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책에서는 그 시간을 몇초라고 알려주었는데 우리가 책을 보면 읽는 속도와 이해하는 속도가 거의 같듯이, 영어도 그만큼 익숙해져서 읽는 동시에 이해가 될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할 것 같다.

이것은 내 숙제이기도 하다. 나도 그 결정적시기를 넘어, 영어공부를 게을리 한탓에 아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지금부터 공부하고 있다.

아이에게 책을 소리내어 읽어주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해주고, 그리고 아이가 스스로 읽는 것을 반복하게 하는 것이 정답같다.

마치 한글을 몰라도 계속 동화책을 읽어달라고 했던 것 처럼... 그러다 어느날 손가락으로 한글을 짚으며 단어를 얘기했던 것처럼..

모국어를 습득하듯이 외국어 또한 다르지 않음을..

많은 교육서적 답게 난 또 이책을 읽고 열의에 불타올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