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e happy -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소냐 류보머스키 지음, 오혜경 옮김 / 지식노마드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눈에 들어온 것은 겉표지 색깔이었다. 개인적으로 주황색을 좋아하기 때문에 더 그랬던 것 같다. 그리고 이상한 점을 발견하였다. 바로 책 제목이었다. 원작 제목은 How To Be Happy인데 왜 그 밑에 행복해 지는 방법이 아닌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라는 한글판 제목을 써놓았을까? 기존에 전자와 같은 제목으로 책이 출판되어서 차별화를 위해서 그랬을까? 아니면 독자로 하여금 아니 도대체 행복해지는게 무슨 연습이 필요할까 라는 의문이 생기게 만들어서 읽어 보게 끔 만들려는 속셈이었을까? 하지만 비로소 책을 읽어가면서 왜 연습이라는 말을 사용했는지 이해 할 수 있었다.

사람들은 정말 쉽게 행복하다, 불행하다 라는 말을 하곤 한다. 그리고 나름대로 스스로 행복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또 그런 자신만의 행복을 찾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 그렇다. 행복이란 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다. 나역시도 여태껏 행복이란 단어를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들, 경제적인 부, 사회적인 지위를 떠올렸고 그것들만 어느정도 갖춰진다면 평생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행복은 통계적 접근을 통해서 그런 행복은 오래가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것을 이 책에서는 쾌락적응(hedonic adaptation)이라고 말한다. 이를테면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람이 5년동안 돈을 모아서 벤츠를 샀다고 해도 그 행복은 불과 1년도 가지 않는 다는 것이다. 반대로 어느날 갑자기 교통사고를 당해서 평생 장애가 생기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이 처한 상황이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된다. 사실 그렇다. 행복이라는 것이 수치로 나타낼 수 없기에 가진 것이 더 많다고 더 행복하다고는 할 수 없다. 단지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자기가 가지고 있지 않기에 가진 사람들을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행복이란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어떤 상황에 처하든 행복할 수가 있는 것이고, 불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농구를 잘 하려면 체력은 물론 키도 어느정도 커야 하고 운동신경도 있어야 한다. 150도 안되는 사람이 아무리 연습을 한다고 해도 농구를 잘 할 수는 없다. 조건이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행복은 정해진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누구나 행복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12가지 방법을 이 책에서는 정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인이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꿈이 있고 목표가 있을 것이다. 결국 그런 꿈과 목표는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라고 생각하고 매일 열심히 살아가려고 노력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한번쯤은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