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한 연결 - 나와 교회를 든든하게 세우는 행복한 공동체
최성은 지음 / 두란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 내용 및 나의 생각]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삶은 결코 같을 수 없다. 대면을 관계의 핵심적인 요소로 여기던 시대에 살다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찾아왔고 우리는 ‘언텍트’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야 할만큼 새로운 세상을 대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만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 이전으로 다시 돌아간다는 것은 삶의 일부분이 된 영역을 지워야 하는 것이기 떄문에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교회에서도 대면/비대면 예배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코로나 확산 초기에 온라인 예배를 두고도 신학적, 목회적 갑론을박이 꽤 진지하게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것이 옳든, 그르든 거의 대부분의 교회들이 온라인 예배 송출 또는 업로드를 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저자는 ‘온전한 연결’을 다시 이야기한다. 지난 3년여의 시간 동안 ‘격리’되었고, ‘단절’되었던 관계를 다시 잇자는 시도다. 하나님과 연결해야 하며, 이웃과 다시 연결해야 하고, 결론적으로 교회 공동체와 다시 연결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연결’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연결’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공동체다. 그러므로 저자가 시무하는 지구촌교회 성도들과 나눈 ‘온전한 연결’을 주제로 한 설교에 귀기울여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 우리는 ‘연결’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가 확실하므로.


[책 속 인상적인 문장]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하는 가정이 되려면 예배의 삶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p. 219


예배의 삶을 잃어버린지가 얼마나 되었는지 모르겠다. 예배의 삶이 회복되어야, 예배의 감격이 삶 속에 회복되어야 가슴 뛰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매일 드려지는 새벽예배, 수요, 금요마다 기도회가 있고 주일에 시간별로 예배가 있다. 이렇게 많은 예배가 내 삶 중에 드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배의 감격은 식었고, 예배에 집중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발견했다. 그러니 가슴 뛰는 가정, 가슴 뛰는 교구, 가슴 뛰는 부서를 만들 수 있겠는가. 예배의 삶을 회복하고 싶다는 열정이 차올랐다. 파티를 만들고 싶었다. 가슴 뛰는 가정, 교구, 부서가 되어 예배의 삶으로 그들을 초대하고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연결, 예배를 회복하고 싶어졌다. 인생의 참 주인을 다시 한 번 정립하고 내 가정, 교구, 부서에서 은혜의 물결을 흘려 보내고 싶다.


[이 책을 추천하고 싶은 사람]


교회의 정체성과 필요성을 고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교회가 사회 속에서 희망이 되지 못하고 지탄의 대상이 후로 ‘탈교회’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심심찮게 많아졌다. 교회가 그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더 이상 공동체라는 말을 붙이기 어렵게 된 탓이다. 진리에는 관심이 없고 교회는 사유화되었다. 이기적이다. 교회의 정체성이 흔들리니 교회의 필요성 또한 약화되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교회는 결코 무너질 수 없다. 하나님이 지키시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머리이시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지체가 되어 그 교회를 세워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바로 이 ‘온전한 연결’을 소망하며 한 걸음씩 나아갈 때에 교회의 정체성을 다시 회복하게 될 것이다. 세상은 교회를 필요로 할 것이다. 


#온전한연결 #최성은 #포스트코로나

#공동체필독서 #릭워렌추천

#목회자필독서 #두피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