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레위기 - 눈감고도 그려지는
김경열 지음 / 두란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경열, <드라마 레위기>, 두란노, 2020


이런 기획이 참 좋다. 


새해가 되면 어김없이 시작하는 성경통독은 언제나 고비를 맞게 된다. 창세기 내러티브는 흥미롭다. 출애굽기도 12장까지는 물 흐르듯이 간다. 그런데 출애굽기 13장부터 시작되는 절기와 언약, 성막과 제의에 관한 이야기는 레위기에 다다라 절정에 이른다. 대체 무슨 소리인지 감을 잡기가 어렵다. 결국 그 높은 산을 넘지 못하고 포기만 수십 번, 창세기만 100독하게 되는 이유는 창세기가 재밌어서만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참 좋다. 책의 제목이 ‘눈감고도 그려지는’ 드라마 레위기다. 읽기에 부담스럽고, 이해하기도 어려운 레위기를 레위기 전문가의 수고로 두렵지 않게 만들었다.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지는데, 1부는 레위기에 나오는 제사와 규례에 대한 배경부터, 각 제사의 형식과 내용, 그 의미에 대해서 알기 쉽게 풀어놓았다. 각 장마다 장의 내용을 요약하는 드라마를 실어서 앞으로 배울 내용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각 제사의 히브리어, 영어, 한자를 풀어주는데, 그 제사가 갖는 어원적 의미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간간히 한글성경의 오역을 바로 잡아주어, 보다 나은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지점도 여럿 있다. 물론 집중하지 않으면 용어 자체의 어색함 때문에 여전히 쉽지 않게 느낄 수 있지만, 이만큼 쉽게 해설 해놓은 책도 보기드물다. 1부를 소화하면 최소한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에 대해서는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책의 2부에서는 레위기 전체에 흐르는 ‘거룩’이라는 큰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다룬다. 거룩의 목적은 무엇이며,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을 구분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 구분을 통해 우리가 얻어야 할 메시지는 무엇인지를 매우 은혜로운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1부에서 각 제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면, 2부에서는 각 절기의 유래와 의미를 살핀다. 최종적으로는 희년에 제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모든 부조리함이 한 번에 새롭게 되는 것의 참 의미를 밝힌다.


이 책을 비유하자면, 오르기 힘든 산을 쉽게 오를 수 있는 등산로 같은 느낌이다. 레위기를 읽다보면 언어적, 문화적, 시간적 간극에서 오는 여러 가지 용어, 제의, 행동들에 대한 질문들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신기하게도 그때마다 저자가 스스로 묻고 답해준다. ‘대체 왜 이렇게 할까?’라는 질문이 들면, 어김없이 저자가 친절한 해설을 들고 나타난다. 아울러 매 끝장마다 은혜로운 적용이 나온다. 적용은 대부분 구속사적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하고 있는데, 그 적용이 매우 은혜로워서 평신도에게만 아니라, 목회자의 설교 포인트로도 활용할 수 있다.


성경은 그저 집에 보관해야 할 책이 아니라, 집어들고 날마다 읽어야 할 책이다. 그러나 만만치 않은 책이다. 그러므로 이해하기 어려운 성경에는 친절한 안내자가 필요한데 레위기는 <드라마 레위기>가 제격이다. 만일 좀 더 전문적인 해설서가 필요하다면 저자의 <레위기의 신학과 해석, 새물결플러스)를 참고한다면 큰 유익을 얻게 될 것이다. 좋은 기획으로 레위기 안내서를 출간해 준 두란노와 저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김경열 #드라마레위기 #두피플 #목회자서평그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