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명저기행 - 책으로 읽는 조선의 지성과 교양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명저기행, 잘 담긴 글, 잘 담은 책


조선왕조는 우리에게 있어서 매우 친숙한 왕조이다.

근 500년동안 한반도를 통치했던 국가이기도 하고, 조선에서 일제강점기 치하를 지나

근`현대의 대한민국을 만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조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오해와 부정적 이미지들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조선의 군사력은 왜 약했나'라던가 '조선은 붕당정치에만 의존했는가'라던가

'조선은 수동적으로 외세에 의한 발전만 한 국가인가'라는 부정적 견해들이 존재했다.


하지만, 위 모든 것들은 일제강점기 치하에서 '조선을 얕잡아 부르려는' 식민사관을 가진 친일 역사가나

일본의 전략이 숨어있는 견해들이었다. 내가 지금까지 역사책을 보면서 느낀 '조선'의 이미지는 단순히

'약한 국가' 내지 '조용한 아침의 나라'만은 아니였다. 


최무선에 의한 화포를 개발하고, 이러한 압도적 화력은 수세에 몰린 조선 수군을 일본 수군으로부터

구하는 화력이 되었으며, 조선이 지속적으로 일본에 파견하는 조선통신사는 일본왕에게 있어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는 외교의 '표현'이 되었고, 중국과는 청으로 바뀌기 전까지 조선과 서로 상부상조를 하며

'조공무역'을 진행하기도 했다.


조선이 이렇게, 대한민국 국민들과 역사를 공부하는 역사가들에게 친숙한 이유는

단연컨데 '조선이 남긴 방대하고도 치밀한 기록들' 때문일 것이다.

조선은 조선왕조실록이라는 500년의 왕조역사를 세밀하고도 철저하게 기록하였고

아무리 폭군이라고 하더라도,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바꾸지 못하도록 견제장치를 넣었다.


또한, 조선은 '사극'에서처럼 왕이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신하들을 학살한 국가가 아닌,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는 국가였으니, 이 모든 '재해석'은 그들이 남긴 '기록물'들을 면밀히 살피면서

시작된 것이다.


요즘에는, 조선의 역사서들은 빠르게 '인터넷화'되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누구나 쉽게 조선왕조실록을 열람하거나, 그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소설'을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선대가 남긴 '기록의 유산'을 후대가 잘 퍼트리는 것에 아마 조상들을 만족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으로 유명한 박영규 저자의 '조선명저기행'역시도

이러한 '후대의 대중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잘 담긴 글을 잘 담은 책으로 엮어 만드는 저자의 노련함과, 정확함은 '흥미'를 갖고 있는 대중들에게

조선명저들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해 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