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조노믹스 - 미래 비즈니스의 패러다임을 뒤바꾼 아마존 혁신 경영의 비밀
브라이언 두메인 지음, 안세민 옮김, 김용준 감수 / 21세기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조노믹스] 아마존의 혁신적인 경영 비밀


포스트 코로나 (Post Corona), 요즘 주류 미디어와 언론, 비즈니스 인사이트 사이트등에서 다루고 있는


국제적이자 현 시대의 화두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필연적으로 우리를 '비대면' 사업으로 몰아넣고 있다.


때문에, 그동안 대면 서비스 기반의 서비스업, 소상공인, 산업들은 직격탄을 맞이했다.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이벤트 업체들, 뮤지컬과 연극을 진행하는 대행사들 등은 현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길어지면 길수록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반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웃는 산업들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e커머스'등이다. 온라인으로 소비자가 상품을 주문하면, 이를 집앞까지 갖다준다.


'마켓 컬리'등의 등장으로, 이제는 식재료 등도 신선하게 주문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한마디로, 이제는 시장이나 마트를 가지않아도 집에서 모든 주문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비대면 서비스'산업의 확대를 이야기하자면, '아마존' 플랫폼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미국 인터넷 서점에서 시작한 아마존은 이제는 물류 유통의 혁신 사업으로 손꼽힌다.


아마존이 혁신적인 브랜드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대표적인 것은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사업운영 모델'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이 혁신적인 기업이 될 수 있었던 결정적 이유 중 하나인 '운영의 탁월성'은


아마존이 '어떻게 하면 다수의 고객이 접속했을 때에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의 기반 플랫폼이 IT였기 때문에


기존의 프론트페이지-웹서버-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3계층 아키텍처방식을 벗어나


보다 효율적으로 모듈단위로 sw프로젝트를 분리하여 운영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적용함으로서


고객들의 쇼핑의 편의성을 더했으며,



또한 아마존이 가지는 14가지 리더십 원칙을 통하여, '고객중심'과 '주인의식'이라는 가치를


통해 아마존에 근무하는 모든 임직원들이 '고객'을 중심으로 사고하고,


'아마존이 자신의 기업인것처럼 주인의식을 가져 책임감과 헌신'을 다하라는 사내문화를 갖추고 있으며,



아마존이 가지는 특수한 사업모델인 '아마존 플라위휠'(선순환구조)를 통하여


근본적으로 고객 경험을 향상시켜, 아마존에 더 많은 트래픽이 유도하게 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판매자를 유치하여,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며,


판매증가로 인하여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면 이를 통해, 타 서비스와 다르게 아마존이 보다 저렴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객을 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은행이 4월에 발표한 '월간산업이슈_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살펴보아도,


앞으로 온라인 서비스들은 기존의 쇠퇴되거나 둔화되는 대면서비스와 달리


빠르게 경기를 회복하고, 앞으로 향후 주류 서비스 산업을 선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이는 '온라인 커머스' 또는 '디지털 커머스'를 준비하는 사업자들, 스타트업 기획자들, 대표들에게


'절호의 기회'로 작용할수도 있다. 이러한 시대에서 아마존은 현재 전세계의 유통 플랫폼으로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주도하는 만큼, 아마존의 모든 산업구조를 조사한 저자의 저서를 통하여


향후 사업모델을 구축하거나 기획할때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을 중심으로 바라보고, 고객중심사고를 통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원칙을 잊지 않는다면


사업모델을 구축할 때에 있어서, 흔들림이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