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퍼버그 - 보이지 않는 적과의 전쟁
맷 매카시 지음, 김미정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2월
평점 :
[슈퍼버그] 보이지 않는 적과의 전쟁
현대의약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기술의 진보에 따라 수명은 늘어나고,
왠만해서 아픈 곳은 치유가 잘 되는 등, 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만연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어떤 항생제도 먹히지 않는 박테리아'가 등장했으니
이것이 바로 저자가 이야기하는 '슈퍼 버그'이다. 슈퍼버그는 '기존의 항생제로도 치료되지 않는
변이된 박테리아'를 의미하는데, 이 슈퍼버그들은 의료진들과 제약회사 연구진들의 노력을 비웃기라도 한듯
점점 영리해지고, 항생제의 내성에 적응력이 강해져만 갔다.
어찌보면,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했는데, 이러한 항생제가 또다시 박테리아를
강하게 하고, 그 박테리아를 없애기 위해 다시 항생제를 사용하는 등,
악순환은 발생하고 있다.
의학박사이자 여러 베스트셀러의 저자 '맷 매카시'는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우리를 죽이지 않고도, 감염(박테리아)를 치료해주는 물질'이어야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여기서 나온 적절한 예시가 바로 '달바'의 사례이다.
'달바'는 80년대 인도의 흙에서 발견한 박테리아에서 추출한 큰 분자 A40926를
과학자들이 시뮬레이션을 돌리면서 연구한 끝에 '달바'라는 항생제를 개발했다.
하지만 '의약품'이 가지는 파장성이 크기 때문에 '실제 일반인들에게 제약품이 적용되기 까지'는
매우 많은 장벽과 제도를 뛰어넘어야 했다.
저자는 이러한 여러 변수들에 대해서 폭넓게 이야기하고 있다.
하긴 그도 그럴것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새로운 신기술이 나오면 그 신기술에 반대하는
이들은 계속해서 나오기 마련이다. 기술의 발전을 '법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그 영향을 받기까지는 매우 어려운 것이다.
슈퍼버그는 비단, 이 박테리아에만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재2차 세계대전의 나치 독일의 피해자들의 이야기나
태평양전쟁 당시의 군인들의 이야기 등, 이 땅위에 살아있는 우리로서는 언제든지
적용될 수 있는 '치명적인 적' 바로, 박테리아와 함께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나라와 전세계를 휩쓰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이고
지금 이야기하는 '박테리아'는 '세균'이다. 세균과 바이러스의 근본적인 차이는 '크기'인데,
바로, 세균은 현미경을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보다 미세하기 때문에
뒤늦게 발견되었다. 세균은 우리 몸에 발병을 일으키지만, 바이러스는 보다 미세하여 우리 인체에
침투하여 증식한 뒤에 세포의 변형과 파괴를 일으키므로, 크기가 크든, 작든 우리에게 위험한 존재인 것은 분명하다.
이 책을 통해 '생물학'에 흥미가 생겼다면, 관련 자료들을 통해 공부해나가는 것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