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탐나는 심리학 50 - 프로이트에서 하워드 가드너까지 인간 탐색의 흐름과 그 핵심, 개정판
톰 버틀러 보던 지음, 이정은.김재경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내 인생의 탐나는 심리학 50] 얇고 넓은 심리학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는 오래된 격언은, 사람의 마음이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


그 끝이 어디까지인지를 도통 '알 수가 없다'는 뜻을 의미한다. 옛날 사람들도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에 대해서


오랫동안 관찰하고 고민해왔던 것이 느껴지는 말이기도 하다. 



수많은 범죄를 저지르는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의 심리를 파헤치는 '범죄심리학'역시도 '그 대상이 왜 행동을 일으켰는지의


의도와 심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예방 및 수사에 활용'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그러한 한 곁에는 


왜 인간이 그러한 마음을 일으켰는지를 진정으로 궁금해하는 마음 역시도 담겨져 있다.



그만큼, '오래살아도, 오래 살지 않아도' 사람을 대하는 것과 사람의 마음을 읽는 것은 언제나 새롭고


종잡을 수가 없다.


​그래서일까? 예전에는 '고루한 학문'으로 불리웠던 '심리학'은 얇고 길게 계속해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학문이다.


'인간이 멸종되지 않는 이상' 심리학 전문가들을 원하는 분야는 이제 다변화되었다. 그동안 연구자나 교육자의 분야에서


벗어나, 심리학은 '빅데이터와 데이터 마이닝'이라는 시대에 걸맞추어, '어떻게 하면 소비자들, 고객, 투표권자들, 지지자들'의 마음을


읽어내어, '자사의 전략과 전술에 활용할지'를 두고 심리학자들을 원하는 수요도 크게 증가되었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거시적인 입장에서의 심리학의 전망이고


사실, 우리가 '심리학 책'을 읽는 이유는 '아하, 그전에는 이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이것을 읽으니 이제 감을 잡겠다'라고


알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는 군에 입대하고 나서, 줄곧 읽었던 책이 '심리학' 책이었다. 수많은 낯선이들과 오랫동안 몸과 마음을


부대껴야 살아야 하는 환경의 특성상, 심리학은 '내 경험으로는 도통 이해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서도 '어느정도'는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책은, 그런 호기심과 탐구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알다시피, 전문적인 용어가 써져있는 심리학 책은 진입장벽이 높아서 쉽게 독자들이 다가가기 어렵다.


따라서, 이 책은 우리가 줄곧 생각하는 궁금증을 하나의 <테마>로 담아서 여러명의 저자들의 저서들을 소개한다.


50권의 고전과 당대의 심리학자들의 자료들을 살펴보며, <나 자신>을 돌아보고, <행복>에 대해 살펴보고,


<인간관계>에 대해서 탐구해보길 바란다. 50개의 챕터와 50권의 고전, 50명의 심리학자들로 구성된 이 책을


천천히 읽다보면, 우리 역시도 심리학의 얇고 넓은 지식을 알게 될지도 모르겠다.



비록, 그것이 얇고 넓은 지식일지라도, '우리의 마음과 남의 마음을 이해하려는 그 마음가짐의 시도'는 분명


당신은 '따뜻한 사람이다'라는 분명한 사실을 증명해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