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번째 머니 다이어리 - 먹을 것 못 먹고 입을 것 못 입는 몹쓸 절약, 영혼을 갈아넣은 몹쓸 저축은 이제 그만!
진예지 지음 / 스마트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첫번째 머니 다이어리] 경제관념이 없는 나에게


시장에 수많은 '돈을 불리는 재테크' 방법들이 나와있지만, 이것들이 마음에 안와닿는 이유는


나의 소득, 내가 다니는 직장, 내가 처한 환경과 동떨어진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부 내가 본 책들의 경우에는, '오류투성이의 이야기를 하거나, 잘못된 가치관을 주입해주기까지 하는 책'들도


본적이 있다. 이런 책들은 그냥 불쏘시개로 사용하길 바란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가장 '쉽게 써진 재테크 방법'은 '어려운 소리 하지않고, 즉시 적용해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가장 좋은 책이라고 생각된다. 오늘 소개할 '나의 첫번째 머니 다이어리' 역시도, '무슨 소리인지는 모르겠고, 쉽게좀 알려달라'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우선 저자는 '무조건 아끼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그런 만큼 '모든 소비를 죄악이나 금기시'로 보지도 않는다는 뜻이다.


1장에서, 저는 '돈이 없을수록 돈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어찌보면 매우 수긍이 되는 이야기겠다.


'내가 돈이 없으니까, 그냥 그때그때 쓰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은 결과적으로 계속 '돈이 적은 사람'으로 만들어버린다.


그 이유는, '목표나 관리없이 소비되는 돈은 그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돈이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비록 내가 대기업 총수나


재벌은 아니지만, 내가 가진 돈, 그리고 내가 버는 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자라는 마음가짐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



2장에서는, 앞에서 이야기했듯, '돈관리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속설'들에 대해서 하나씩 풀어나간다.


나도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처음 '가계부'를 쓰는 사람은 '모든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려고 한다.


하지만, 결국 그 의지만 강할뿐 어느새 흐지부지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가계부는 어느정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정도로


기록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일일이 하나하나 기록하는 것보다, 한달 단위로 '식비는 얼마' '교통비는 얼마' '통신비는 얼마' 식으로


'돈의 이동흐름과 자신의 소비패턴을 거시적으로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라는 것이다.



그렇게 하나씩 관찰하다보면, '내가 어디에 비용을 쓸데없이 쓰고 있는지'를 알게되고, 그 이후부터 돈관리가 시작된다.


3장에서는, 지출에 대해서 이름을 붙여줌으로써 우리의 '욕망과 지출의 유형'을 일치화시킨다.


그럼으로써, 내가 쓰는 돈을 들여다보는 것에서부터 본격적인 돈 관리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4장에서는 가계부를 작성하는 법을, 5장에서는 소비와 저축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통해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돈관리의 실전방법을, 6장과 7장에서는 약간 에세이형식의 저자의 경험이 그대로 녹여있는 


돈관리 방법을 알려준다.



누누이 이야기했지만, 이 책은 '절대 어렵게 작성된' 재테크 방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수필을 작성하듯 누군가에게 이야기하듯 작성되었기 때문에, 더 집중을 할 수가 있었다.



만약, 이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론이 있다면 그 책을 사는 것을 추천하지만,


만약, '나는 돈관리는 커녕, 경제관념도 아예 없다'는 가장 초보생이자 입문자라면, 이 책을 통해서


'돈관리에 대한 자신감과 돈관리가 가져오는 행복감'을 알아가길 바란다.


그것이, 우리가 돈을 관리하고 공부하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