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 미지의 땅에서 들려오는 삶에 대한 울림
강인욱 지음 / 흐름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살아있는 역사를 만나다.


LG 로고의 영감이 되었다는, 신라의 얼굴무늬 수막새는 고대의 환한 얼굴을 간직하고 있다.


'신라의 미소'로도 불리우는 이 보물은 푸근하면서도 인상적인 고대 신라인들의 미소를 담고 있으며


아래쪽이 파손되었음에도, 그 인상적인 표정을 담고 있기에 더욱 화자가 되고 있다.



이렇듯, 고대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의 많은 왕조와 국가들에서 유래된 고고학 유물들에는


저마다의 사연들이 숨어있다. 사람이 만들었고, 사람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사람에 의해 발굴되었으니


당연하다고도 할 수 있겠다.



보통, 고고학자 영화인 <인디애나 존스>를 보고, 어느 밀림이나 사원등을 탐험하며 보물을 탈취(?)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고고학은 오랜시간의 세월을 거쳐 발굴과 조사, 복원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접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고학은 어쩌면, 그것이 발굴하는 역사와 같이


'오랜시간이 필요한 학문'이라고 생각된다.


강인욱 교수의 고고학 여행은 자신이 경험한 여러 고고학 발굴/조사 사례등을 통해


고대인류의 삶에서부터, 비교적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의 흐름과 인류사의 과정'에 대해서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특히, 단순히 고고학 발굴 프로젝트등을 열거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고고학이나 역사에 관심이 없는 이들'에게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듯


전해주어 인상적이었다.



특히, 개인적으로 '술, 신이 허락한 음료' 편이 인상적이었는데


현대인들에게도 '술'은 다양한 감정이 섞인 기호품인데, 고대 중국에서부터 이런 '술'에 대한 유적들이 발굴되었다는


점을 보면, '술'은 정말 오랜역사를 가진 '인류의 오랜 기호품'이라고 생각한다. 흔히 세계 3대 기호품으로 '술, 담배, 커피'를


꼽지만, 그 중에서 독보적으로 '술'은 인류를 즐겁게도 하고, 무섭게도 한 음료라고 할까 


때문에, 이런 하나의 스토리를 읽고 자신의 경험과 비추어보면, '고고학의 은은하고 깊은 맛'을


알게 된다. 고고학은 단순히 '과거'를 쫓는 학문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말이다. 그 과정에서 고고학자는 '증거를 모아 하나의 사건을 재구성'하는 프로파일러나 형사처럼


일하고, 그 결과물을 일반인들에게 전하면서, '과거의 이야기'가 '현재와 미래의 영감'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정리하면 '고고학은 매우 매력적이고, 충분히 시간을 들여 일할 학문'이라는 점을 


저자는 말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 



우리 역시도, 이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의 모습과 생각은 많이 달라질 것이라 확신한다.


그냥, 박물관의 전시된 유물들이 어떤 구구절절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어떤 조사와 검증을 통하여


우리에게 '이야기'를 속삭이는 지를 알게된다면 새로운 의미와 시각을 가지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