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fulness: Ten Reasons We're Wrong about the World--And Why Things Are Better Than You Think (Hardcover) - 『팩트풀니스』 원서
Rosling, Hans / Flatiron Books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팩트풀니스] 사실을 오해하는 이유 10가지 


2014년 9월 11일, TED Talk에 나와 강단에 선 스웨덴의 보건 통계학자인 한스 로슬링


그는 유머러스하면서도, 쉽고 간단하게 정의된 강연을 보여줌으로써 유튜브 조회수 150만건,


TED강연 3500만건을 돌파하며 좋은 강연의 표본을 보여주었다.


​그가 이야기하는 핵심주제는 '세상이 오해하는 10가지를 분명한 팩트인 통계로서 실상을 분석하여


진실을 이야기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주류언론들은 연일 '경제가 어렵다'며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보도방향과 뉴스기조에 있어서는 '정치적 의도'를 다소 내포하는 뉴스들이 많다.


일례로, 한 언론사는 '최저시급때문에 가계문이 닫혔다'라고 이야기했지만, KBS 저널리즘J가 팩트체크한 결과


원래 그 상권은 이전부터 쇠락되어 있었고, 언론사가 '편향보도'한 것에 불과했다.



이처럼, 분명한 팩트만을 알려야하는 주류언론들은 자신들의 사내지침이나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시청자들에게 편향된 뉴스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스웨덴의 보건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역시도, 이러한 잘못된 점에 대해서 언급했다.


그러나, 단순히 이러한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경향은 주류언론의 보도편향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 10가지의 오해의 근원들이자 본능들이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지 못하게'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아직도 아시아의 국가들이 서구의 국가들보다 못산다'라고 생각하지만,


통계학자인 그의 눈에 보았을 때에 분명한 데이터이자 정치적 의도를 제외한 팩트로 보자면,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이미 아시아의 많은국가들은 서구권보다 경제력이 우수하거나, 근접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역시도 이미 OECD나 IMF기구들이 보았을때에 '선진국의 반열'에 들어선지 오래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그것을 부정하며, '사실이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글쓴이가 이야기하는 10가지의 오해근원, 간극/부정/직선/공포/크기/일반화/운명/단일관점/비난/다급함 본능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 중에서 우리가 대부분 알고 있는 '일반화 본능'은 어떤 사실을 보지 못하고 '일반화하여(뭉뚱그러서)' 본다는


것이다.



한 예로,


아프리카는 대부분 못산다 = 일반화 생각을 가진 A라는 사람이 있다면


아무리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은 잘산다'라고 뉴스가 나오더라도, 그에게 있어서 뭉뚱그러진 상식은 여전히


아프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못산다라고 박혀 있는 것이다.


결국 글쓴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오해하는 근원 10가지'를 타파함으로써


우리 스스로의 오해의 구덩이에 올라서서 '분명한 사실'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자는 것이다.


그는 이런 오해의 근원을 타파하기 위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세계의 통계자료를 살펴보기 때문에 다소 어려울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세상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살기 좋다'라는 점을 깨닫게 한다.



이 책은, 요즘같이 '가짜뉴스'와 '가짜뉴스 유튜브 방송'등이 판치는 세상에서


'분명한 사실'이라 일컫는 '팩트'가 우리세상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



만약, 책을 구매하기 망설여진다면 19분짜리 TED강연 영상을 통해 살펴보는 것도 좋다.


그 영상에도 책의 핵심 일부분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강연을 통해서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깨닫는다면


그것로도 충분하다.



데이터와 통계, 빅데이터, 팩트 등은 다소 지루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분명히 바라보고, 더 좋게 만들거나 나쁜 것을 고치기 위해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위해서


가장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사회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