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관청기행 - 조선은 어떻게 왕조 500년을 운영하고 통치했을까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관청기행] 뿌리깊은 '행정과 경영'


최근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나 ICT 공모전에 빠짐없이 들어가는 데이터를 말하자면, '공공데이터'이다.

정부3.0이 2013년 시작되어 개방과 공유를 통한 달성전략이 발표되었고,

2014년 추진되어 현재는 각 시`도 홈페이지에 '공공데이터'가 올라와있다.


이런 공공데이터를 보고있노라면, 새로운 아이디어도 떠오르지만 살펴보는 것 하나하나가 재미있다.

예를 들어, '어느 지역의 CCTV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면, 방범취약지역에 대해서 진단할 수 있고,

사이버경찰청이 제공하는 '교통사고정보'에 대해 살펴보면, 교통사고정보를 위치데이터 기반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취약`위험지역'을 진단하여 네비게이션에 응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서두에 '공공데이터'를 언급한 이유는, 바로 이들 데이터는 '따로 만들어야지'하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각 행정기관들의 기록과 보관을 통해 쌓이는 데이터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 살펴볼 '데이터'는 무려 500년동안 유지되었던 정부조직의 행정데이터를 살펴보는 것이다.


조선은 뛰어난 '기록의 나라'이다.

조선왕조 500년사를 관통하는 '조선왕조실록'은 물론이고, '승정원 일기', '난중일기'등을 보면

그것이 왕조에서 기록업무를 보는 사관, 관청에서 행정업무를 보는 관리, 전쟁터의 무인들을 막론하고

붓과 먹, 한지만 있다면 어디서든 기록의 역사를 남겨놓았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조선왕조와 관련된 도서,드라마,웹 소설,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등이 나오는 것은 

그들이 500년동안 유구한 역사를 기록해놓은 덕분일 것이다.


조선왕조는 왕조국가였지만, 통치이념을 '유교'로 삼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로 삼았기 때문에

그들 정부조직 대부분은 유교의 가치관에서 따왔고, 정부조직들은 이전의 왕조국가보다 더 민생에 세분화되어 있었다.

중앙으로는 6조와 의정부를 지방으로는 관청을 두었으며, 조선백성이 사는 곳 어디라면 

관리들이 왔다갔다 했다.


읽다보면 느끼는 것은 바로, 조선이 500년 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행정체계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두번의 전쟁 난리통에서도 조선은 다시 우뚝 일어섰고, 비록 일본의 침략전쟁으로

강제점령당했지만, 이들 관리들이 남긴 기록들을 통해서 조선왕조가 어떻게 행정을 유지했는지를

세밀하게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금의 행정공무원들과는 비교도 안되게, 매우 힘든 과정과 경쟁률을 통한 '선발' 

선발과정 이후에도 업무를 배워나가는 '과정', 배치된 곳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업무량'등은

상상을 초월한다. 


만약, 지금 공무원들에게 이런 격무를 시킨다면

아마 크게 반발할 것 같다.


물론, 어디가나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공무원들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행정체계의 허점을 '매의 눈'으로 살펴보아

악용하는 공무원들은, 조선왕조의 지방관리들에게도 보여진다.

특히, 나라가 망하는 기운이 보여지는 '말기'때에는 '암세포가 온 몸을 두른 것'처럼 

지방 하청의 관리에서부터, 국운을 좌우하는 중앙관리까지 퍼저나가는 과정은

우리에게금, 눈여겨보아야 할 '역사의 교훈점'이다.


책은, 중앙에서부터 지방까지 궁궐 대문을 열고나가, 육조거리로 이동해 지방으로 내려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처럼 상세하고 세밀하게 보여준다. 책을 따라 읽으며, 저자의 말을 따라 조선을 둘러다보면

어느새 우리는 '뿌리깊은 한 역사의 현장'을 느끼고 온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