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공간 - 평행우주, 시간왜곡, 10차원 세계로 떠나는 과학 오디세이
미치오 가쿠 지음, 박병철 옮김 / 김영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공간] 우주를 관통하는 스페이스 오페라


차원이라는 것은 과학다큐영화가 아닌 예능에서는 '신비한 것'으로만 치우쳐졌다.

4차원이라고 하면, '우리가 살고있는 차원의 고등의 것' 또는 '안드로메다 같은 것'으로 비유되어 왔다.

그런데 '초공간'이라니, '공간을 초월한 것'인가? 하는 의문점도 들었고 

책의 제목만보아서는 살펴볼 수 없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의 궁극적 목표는 이름과 동일하게 20세기 말에 발생한 '초공간'이론에 대해

비전공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상세히 소개하는데 있다.


우선, 이 <초공간>이라는 생소한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보아야겠다.

초공간이란 '4차원 시공간보다 차원이 높은 공간'을 의미한다.

흔히, 영화나 미디어매체에서의 4차원은 '현실과 동떨어진 곳' '안드로메다같은 곳'으로 비추어졌다.

4차원도 이해가 되지 않는데, 10차원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 그것이 참 신기했다.

하지만, 10차원에 대한 논의는 과학혁명이나 그 혁명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은 과학혁명 이후의 물리학의 혁명이었다.

팽창하는 우주에서 예측할 수 있는 세계, 그 세계의 모습은 우리가 지금 보고 상상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이 모든 의문에 답을 할 수 없지만, 물리학계에서 공론화된 이론들은 이러한 우리의 의문점들을 풀어준다.


초공간을 읽으면서 이것을 가장  쉽게 표현하는 것은 바로 영화 <인터스텔라>라고 할 수 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 영화는 광대한 우주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였다.

인터스텔라에서는 이러한 '차원의 상대성'을 확실히 보여준다. 어떤 행성에서는 지구와 시간이 상이하게

달라서, 이곳의 시간이 5분이면, 지구의 시간은 1년으로 다르게 느껴지고, 블랙홀을 통해서

과거로 넘어가거나, 블랙홀에 다가갈수록 공간이 늘어지는 것을 사실적으로 보여주었다.


광활하면서도 인류가 막 물장구를 친 거대한 대양앞에서는, 일반인은 그저 신기하고

우러러볼 뿐이다. 이는 물리학자들에게도 우주가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라는 것을 그대로 보인다.


잠깐 위의 두서없이 작성했지만, 이 <초공간> 책은 일반인들에게 완전히 친절하지는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초공간 이론을 시작에서부터, 끝까지 상세하게 보여준다. 

초공간 이론이 어떤 계기로 시작되었고, 발전되었으며 현재에는 어디까지 이르렀는지 살펴보여준다.

비전공자인 내가 보아도, 이 초공간 책은 매우 깊이있고, 넓은 책이다.

이 책을 쓴 저자가 감탄스러울 정도이다.


<초공간>을 읽으면서 우주의 비밀을 파헤치려는 물리학자들의 이야기들은,

우리가 옛날 머리맡에서 읽어주었던 어느 '영웅들의 대서사시'보다 현실적이고, 매력적인

스토리들이다. 그래서 비록 어렵고 생소한 단어가 나올지라도 이 책을 도서관에서 빌리든, 사든

읽어볼 가치가 있다는 점이 분명하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