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데이 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카트 멘쉬크 그림, 양윤옥 옮김 / 비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스데이 걸] 스무살의 생, 그 순간


생일은 누구에게나 축복받아야 하는 날이다.

자신이 태어났고, 자신을 태어나게 해준 사람들에 대한 축복과 감사의 의미를 담는 날이다.

하지만, 모두에게나 생일은 공정하지 않다. 누군가에게는 생일은 '그저 지나가야 하는 날'

또는 '평범한 날짜'로 가리켜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 생일이 비록 평범한 날일지라도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맞이하는 '스무살의 생일'은 그 어느때보다

다시오지 못할 '생일'일지도 모르겠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최신단편소설 <버스데이 걸>은 스무살의 생일을 맞이한 한 여성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이제 스무살이 다가오는 이 여성은 그 날이 자신의 '생일'이라는 것을 알고있음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으며, 하루가 끝나가고 있다.

그러나, 그녀가 생일을 처음 그렇게 보내려고 한 것도 아니다.

단지 그날 사귀던 남자친구와 최근 다투었기 때문에, 또 당일에 근무를 바꿔주기로 한

친구가 갑자기 몸이 아파 , 대타를 섰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하지만, 그 생일이 지나가는 무렵, 한 노인이 나타나 그녀의 생일을 축하해주겠다며 나타난다.

그는 그녀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강조한다.

'당신이 누구든, 일 년에 딱 하루, 자신만을 위해 특별한 날이 있다'고 

이러한 날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흘러가며, 스무살이 되는 생일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그렇게, 찾아온 알면식도 없는 노인에게 '생일축하'를 받은 그녀는

마지막, '마법처럼 이루어질' 소원을 빌며 소설은 끝이난다.


사실, 소설의 장수가 짤막한 페이지의 단편소설이기 때문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며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소설은 하루키가 그동안 써왔던 소설 중에서도 , 짧으면서도 깊은 울림을 보여주는 소설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소설이 가지고 있는 주제의식, 바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일년에 한 번뿐인 생일'에 대해서 다시한번 되돌아보게 하는

순간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지나간 시간은 다시 되돌아오지 않는다'고 혹자는 말한다.

정말, 그렇다. 

쉴새없이 지금도 흐르는 것이 시간이지만, 다시 그것을 되돌아오게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시간을 '바다'와 비유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인간의 시간과 순간이 '그 찰나의 순간'이라면

이 순간을 , 그리고 생일의 순간을 만끽해보면 어떨까?

다시 돌아오지 않을지라도, 그 시간만큼은 소중했노라고 나 자신에게 속삭일 수 있을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