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인간과 일
토머스 대븐포트.줄리아 커비 지음, 강미경 옮김 / 김영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시대 인간과 일] '인간'을 '인간답게'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드론, 머신러닝' 

위의 단어들을 조합해보면 연상되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바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이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는, 19대 대선에서도 매우 뚜렷한 이슈였다.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양측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계획'들을

PT로 발표할 정도로, 4차 산업혁명의 폭풍은 매우 거셌고, 지금도 약간의 숨고르기만 할 뿐

우리의 곁으로 부쩍 다가오고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사전적의미로는 '인공지능으로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산업환경의 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이 의미를 알고있고, 이미 우리는 많이 들어보았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의미에 대해 무언가 와닿지 않는다. 그저 먼 산에서 피어오르는 바람과도 같이 본다.

그것은 모든것을 뒤바꾸어버릴 강력한 폭풍의 전조인데도 말이다.


44차 산업혁명은 매우 이상적인 '유토피아'와 매우 비극적인 '디스토피아'의 양면을 가지는 '동전'과도  

같은 변화의 바람이다. '인공지능을 통한 자동화와 연결성의 극대화'는 긍정적인 의미로는 인간이 

손하나 대지않고 코를 푸는 미래를 의미하며, 그 반대로 그만큼 '단순노동의 인간이 설 자리를 잃어간다는 뜻'이기도 하다. 


세계 과학기술력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도,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바람'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감히 단정짓지 못한다. 그저 추정만 할 뿐이며 

우리의 후손들이 '인공지능들'에 밀려 '길거리로 나앉지 않길'바라면서 대책을 그려나갈 뿐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은 나쁜 것인가?

아니다. 그렇게 '양비론적'으로 단순히 결정지을 수 만은 없다.



인공지능의 '수요'는 인간이 '편하고 싶어하는 욕망'에서 시작되었다.

흔히 우리가 분류하는 '3D업종' 

더럽고, 위험하고, 어려운 업종을 의미한다. 


이 단어를 꺼낸 것은 이 업종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을 '모욕'하거나 '업신'여김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솔직해지기 위해서이다'. 인간은 누구나 '편하게 일하길' 원한다. 돈이 되고, 안전하고, 쉬운일을 원한다.

때문에 인간은 기업을 경영하면서 보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헤맸다.

마치 사막과 넓은 우주를 헤매던 어린왕자와 같이 , 현대 인류는 끊임없이 '편한 것'을 추구하였고

결과적으로 인류는 인류가 하는 일을 대체할만한 '그것'을 찾았다.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간의 두뇌용량보다 어마어마한, 인간보다 더 빠른, 인간보다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인공지능은 우리의 삶속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워진다. 앞에서 언급한 단어들,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드론, 머신러닝'들이다.


하지만, 이 '피조물'을 창조시키고 난 후에 살펴보니

피조물들이 창조자들보다 우위에 있더라, 그것이 심히 보기 힘들더라 한 것이었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나쁘지 않다.

그저 우리는 '보다 편하게'를 추구하기위하여 창조한 것일뿐, 그리고 우리는 학교와 기업을 통하여

자신의 피조물을 보다 영리하게 진화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피조물'인 인공지능이 우리의 '자리'를 빼앗긴다는 느낌을 받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이 책의 필자는 말한다. '인간이 보다 인간답게 하면 된다'고 

영화속에서 나오는 인공지능들은 '인간'의 범주를 훨씬 뛰어넘거나 '인간'과 동일한 지능을 가진 것으로 보여지지만

아직은 그것까지 도달하지 않았다. '인간은 할 수 있지만, 인공지능은 할 수 없는 일'

오직 인간만이 진행할 수 있는 일을 취하면 된다.

그래서, 우리는 '인공지능'을 묻기 전에 

나 자신에게 다시 물어보게 된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그 물음에서 우리는 '답'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