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가기 전에 해야 하는 말
아이라 바이오크 지음, 김고명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용서할게
용서해줘
고마워
사랑해

 

우리는 하루동안 정말 많은 말들을 하며 살아간다.
하루동안 했었던 말들을 되짚어보면 분명 후회되는 말도
하고 싶었는데 하지 못해서 아쉬웠던 말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솔직히 우리는 하루동안에 우리가 무슨 말을 하며 사는지
돌아보지 않는 것이 다반사이다.
그저 하루를 살아가기도 바쁘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는 앞서 말한 '용서할게. 용서해줘. 사랑해. 고마워'
이 단어들이 가진 힘에 대해서 여러 에피소드와 함께 설명하고 있다.

작가분이 40년 넘게 호스피스에서 활동하시는 분이셔서인지
에피소드들 또한 환자들이나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이 네가지의 단어로 마음의 치유를 하는 모습이 그려져있다.

 

 

우리는 말 몇마디로 어떻게 마음을 치유하냐고
언어의 힘을 깍아내릴 때가 많다.

 

단 몇마디의 언어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은 참 놀라운 일이다.

'그것이 가능할까?'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도 심각한 오해가 생겨 며칠간 소원하게 지내던 친구에게
진심을 담아 "미안해.."라는 단 세마디만으로
관계가 다시 회복되고 더 좋은 우정으로 갈 수 있었던 체험이 있다.

이러하듯 이 책에서도 우리가 건네는
'용서할게. 용서해줘. 사랑해. 고마워' 라는 말들이
상대방의 마음에 놀라운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고통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가급적 숨기려 한다.
그래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그들의 행동뿐이다.

 

우리나라 옛속담에는
시어머니께 고통받았던 며느리는
자신의 며느리에게는 이런 고통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결심하지만
시어머니보다 더 심하게 며느리를 구박하는 사람이 되었다는
말이 존재한다.

우리는 신이 아니기때문에
사람의 속마음을 알 수 없다.
때문에 우리가 보는 상대방의 행동만으로 판단하기가 쉽다.

위 구절은
이런 판단들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려주는 듯한 말이라고 생각되었다.

가끔씩 뉴스에서는 끔찍한 범행을 저지른
사람의 불우했던 환경에 대해 소개하는 기사를 볼 수 있다.
그 사람이 저지른 죄는 참혹했지만
그 사람이 겪어온 과거 또한 참혹했기 때문임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물론, 불행한 과거를 겪은 범죄자의 행동이 
그러한 과거때문에 용서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남을 바라볼 때 
좀더 넓고 이해할 수 있는 시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오늘이 가기 전
당신은 누구에게 어떤 말을 해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