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첼리가 들려주는 대기압 이야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24
송은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들 앞으로 배울 과학이야기를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접해줄 수 있을까 고민이 많은데요

무엇보다도 책으로 함께 이야기 많이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다 생각해요

언젠가 한번 차로 이동을 하는데 굽이굽이 산으로 올라갔을 때가 있었지요

그때 큰아이가 귀가 이상하다고 아프다고 한 적이 있었거든요

산에 올라가면서 아마도 기압 때문에

귀가 먹먹한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저도 그때 아이에게 이해하기 쉽게 어떻게 과학적으로

이야기를 해줘야 할지 막상 막막해서 검색했던 기억이 나네요





초등과학도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대기압이야기

토리첼리가 들려주는 대기압이야기인데요

이번에 아이랑 함께 이야기 나눌 자음과모음 도서를 소개해요

토리첼리라는 과학자를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토리첼리와 함께 신비한 대기압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보아요






우리는 공기 없으면 살수 없지요

그만큼 소중한 공기를 우리는 살면서 당연하듯 잊고 살기도 하고요

공기는 우리 곁에 항상 존재하면서 이 공기가

우리를 일정하게 항상 힘으로 누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신비로운 과학의 세계로 들어가 보는 시작이에요

초등과학도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대기압이야기

이 책은 지상에 떠 있는 공기가 누르는 압력,

대기압에 대해서 갈릴레이와 아리스토텔레스, 토리첼리라는 위대한

과학자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앞에 두 분의 과학자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토리첼리는 낯설지요








초등과학도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대기압이야기

차례를 펼쳐보면 산정상과 산 입구의 대기압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과 황사 현상이 생기는 까닭까지

이야기식으로 풀어져있어 다양하게 접해볼 수 있어요

어렵게 느껴지지도 않고 하나의 궁금한 점들은 차근차근 풀어보는 방향이라

공부라 느껴지지 않아서 좋아요








어렸을 때 할머니댁에 커다랗고 깊은 우물이 있었는데요

저는 그 우물이 무서운 기억밖에 없어요

저기에 빠지면 어떡하지 무서운 괴물이 올라오면 어떡하지 등등

우리에게 물을 제공한다는 생각보다 무서운 우물이라 기억에 남아있는데요

갈릴레이와 우물은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 궁금해지지요








우물의 깊이가 어느 이상이 되면 사실 절대로 위로 끌어올릴 수 없다고 해요

지하수가 지상으로 올라오지 못하는 까닭을 알아볼 수 있지요

갈릴레이는 토리첼리의 스승이기도 한데요







우물의 깊이가 10m를 넘으면 왜 지하수가 끌어 올려지지 않는지

그림으로 다 함께 사고 실험을 해보아요

공기 기둥은 압력으로 작용해서 지하수를

끌어올려 주는데요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높이에도 한계가 따르겠지요

우물의 깊이가 10m를 넘으면 지하수를 지상으로 끌어올리 수 없는데

그건 바로 공기가 누르는 압력이 지하수 10m까지만 끌어올릴 수 있을 만큼의

힘이기 때문이지요







글을 읽고 한 이야기가 끝날 부분에서는 만화로 본문 읽기가 나와서

정리를 해주어요

아이도 글밥이 많아서 읽다가 지치면 바로 만화를 보는데요

저도 읽다 보면 어느 정도 정리가 되어주니 편하더라고요

역시 만화 글은 언제 봐도 재미있어요







아이가 산에 올랐을 때 귀가 먹먹했던 경험으로

공기가 일정한 무게로 내리누르는 힘을 대기압이라고 하지요

토리첼리가 대기압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들려주는 책이에요

우물의 깊이가 어느 이상이 되면 절대로 위로 끌어올릴 수 없는 이유와

산에서 밥을 지으면 잘 안되는 이유 등

우리 주변에서 대기압과 관련된 많은 과학적인 현상들을 살펴보고

이야기 나눌 수 있어요


초등과학도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대기압이야기

토리첼리라는 과학자를 알게 된 것만으로도 만족하네요

토리첼리는 갈릴레이가 제작한 망원경을 개량하고

초기 현미경을 제작했고 수학자로서 사이클로이드를 연구한

과학자이지요

대기압을 측정한 토리첼리에 대해서 아이와 함께 읽어보았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