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 한국사 :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 조선 1 민음 한국사 1
문중양 외 지음, 문사철 엮음 / 민음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아이들과 [관상]이란 영화를 보고왔었다.  카리스마 넘치던 수양대군의 모습이 6학년이던 아들녀석의 눈에 굉장히 멋져보였는지 우리 역사에 별 관심이 없던 녀석이 갑자기 한국사에 흥미를 보이기 시작했다.  집에 큰아이를 위해 책장에 꽂혀있던 만화 한국사들을 읽기 시작했지만 중요한 내용만 간략해논 내용이라 아이는 금새 흥미를 잃어버렸었는데 이 번 민음사에서 나온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은 큼직하게 들어있는 삽화나 한국사 관련 그림과 사진들 그리고 더불어 자세하게 적혀있는 설명들이 우리 역사를 재미있게 읽을 수있게 해 주었다.

특히 조선의 건국과정과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의 편을 재미있게 읽었다.

한글을 만든 사람이 누구냐 물으면 아마도 세종이라 말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사실 한글은 세종이 신하들과 힘을 합쳐 만들었다는 협찬설이나 세종이 지시만 하고 실제로는 신하들이 만들었다는 명제설이 있다.  세종은 한글 창제 작업을 집현전 학자들이 아닌 집현전의 하급 관리에 속하는 신하들을 동원해서 만들었다. 이에 반발한 집현전 학자들과의 창제를 둘러싼 반대에 부딪혔으나 강한 의지로 돌파 [훈민정음]을 책으로 만들게 되었다. 

15세기 조선은 태종과 세종의 탁월한 통치와 계유정난의 단종과 세조의 시대를 지나 성종의 친정으로 왕권을 강화 15세기을 이끌고 간 인물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있다. 

역사는 과거에 흘러간 시간이 아니라 계속해서 오늘을 살아가는 시간인 것처럼 누구나가 알아야하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를 어떻게 쉽고 재미있게 읽고 기억하는가는 영화도 좋지만 책만한 것이 없을것이다.  벌써 [16세기,성리학 유토피아]도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