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 파산 - 2014년 제2회 한국경제 청년신춘문예 당선작
김의경 지음 / 민음사 / 2014년 3월
평점 :
이 책을 읽으면서 프리터란 말을 첨 알았다. 프리터족이란 자유(free)와 아르바이터(arbeiter)를 줄인 말로 일정한 직장없이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젊은 층을 일컫는 말이다. 20대 청년 구직자 10명중 4명이 프리터족이란 말도있듯이 지금은 어엿한 직장의 한 개념인 것처럼 알바생 중 대다수는 취업난에 어쩔 수 없이 생계수단으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건 아닌가 싶다.
[청춘파산]은 제목처럼 어두운 소설은 아니다. 20대에 신용불량자, 30대에 개인 파산자가가 된 30대의 백인주라는 여자의 지금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주인공은 봉고차를 타고 동네 곳곳에 상가수첩을 돌리며 그 동네와의 추억을 되살리며 어떻게 프리터의 삷을 이어가고 있는지를 말한다.
어느 날 갑자기 시작된 빚더미와 사채업자들을 피하며 힘겹고 고단한 생활을 주인공은 칙칙하지않게 가볍고 주변사람들과의 이야기를 통해 풀어내는 글은 참 재미있게 읽히지만 조금은 아쉽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면책을 받은 후 날아든 공문서들을 보여주며 어떻게 헤쳐나아가는지 노력하는 모습 역시 요즘 젋은이들 답게 참 당차고 현실을 보여주는것같아서 재미있게 읽었다.
사실 나는 아르바이터를 한번도 해본적이 없다. 13년동안 직장생활을 하며 똑같은 생활을 한 사람이라 아르바이터만으로 과연 생활이 될까 의문도 들지만 고단한 요즘 젊은 청춘들만이 아니라 중장년층들 역시 직장 구하기란 힘겨운 요즘이라 프리터족이란 직업도 당당히 직업으로 인정해야 하지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